컨텐츠 바로가기

11.30 (토)

이슈 게임정책과 업계 현황

게임업계 '확률형 아이템' 의존 줄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내 게임업계가 최근 정부 규제 움직임과 맞물려 '확률형 아이템' 중심의 수익모델에서 탈피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그 결과가 주목된다.

최근 공정거래위원회가 확률형 아이템 관련 정보를 조작했다는 이유로 게임업체 넥슨에 대한 제재 절차에 착수한 가운데 법무부와 국회도 아이템 확률 정보공개 의무화를 위한 입법 조치에 속도를 내고 있다. 그동안 게임업계는 아이템의 확률 정보를 자율적으로 공개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게임 내 확률형 아이템을 지속적으로 운영해왔다. 그러다 최근 규제 압력이 심해지자 일부 게임사들이 올해 신작에 확률형 아이템을 배제하려는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는 것이다.

넥슨은 지난 12일 출시한 레이싱 게임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에 확률형 아이템을 선보이지 않겠다고 밝혔다. 대신 게임 내에서 '꾸미기'가 가능한 치장용 아이템만 운영한다고 설명했다.

넥슨의 레이싱 게임 전작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에서는 주행 성능을 비약적으로 높일 수 있는 확률형 아이템이 거래돼 왔다. 당시 일부 게이머들은 확률형 아이템이 전형적인 '페이 투 윈(pay to win·돈을 지불할수록 승률이 높아지는 구조)'이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인 바 있다. 이 같은 반발 기류를 인식한 듯 넥슨은 현재 준비 중인 또 다른 신작 '퍼스트 디센던트'에 확률형 아이템 요소를 도입하지 않겠다고 공지했다. 그라비트가 지난 5일 출시한 '라그나로크X'도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장르 중에서는 드물게 확률형 아이템 거래를 전면 배제했다. 엔씨소프트가 이르면 오는 2분기 신작 '쓰론 앤 리버티(TL)'를 출시할 예정인 가운데 업계에선 엔씨소프트가 확률형 아이템 위주의 운영 방식보다는 이용자 친화적인 수익모델을 보여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게임업계가 이처럼 확률형 아이템과 거리를 두는 이유는 지난해부터 본격화한 정부 및 국회 움직임과 무관치 않다. 공정거래위원회는 넥슨을 상대로 롤플레잉게임(RPG) '메이플스토리' 등을 운영하면서 확률형 아이템의 확률 정보를 이용자에게 제대로 공개하지 않거나 해당 확률을 속인 혐의가 있다며 제재 방침을 통보했다.

국회에서도 건전한 게임문화 조성과 이용자 알권리 보장 등을 앞세워 확률형 아이템 규제 입법을 벼르고 있다. 게임사가 잘못된 확률형 아이템 정보로 이용자를 기망할 경우 문화체육관광부에 조사권을 부여하고 행정벌을 부과하는 방식 등이다. 이에 대해 게임업계는 '자율규제'가 시행된 이래 게임사들이 자발적으로 확률형 아이템의 정보를 공개하고 있다며 정부와 국회의 동시다발적 규제가 시장에 상당한 충격을 줄 수 있다고 염려하고 있다.

게임업계 관계자는 "주요 게임사들은 이미 아이템의 확률을 모두 공개하고 있는데 법적으로 강제하는 것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고 전했다. 이재홍 한국게임정책학회장은 "한편으로 확률형 아이템 모델이 국내 게임 산업이 20조원 시장으로 성장하는 데 기여한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용자 친화적 모델을 운용 중인 업계의 노력 역시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도 크다. 대표적으로 넥슨은 2015년 메이플스토리 무과금 전용 서버인 '리부트 월드'를 개발했다. 여기에선 게임자 간 아이템 금전 거래를 할 수 없고, 강화 아이템을 현금으로 살 수 없다. 한 게임업계 관계자는 "해외 메이플스토리에서는 전체 이용자의 절반 이상이 리부트 월드 서버를 이용한 데 반해 국내 이용률은 10% 수준에 그치고 있다"며 "무과금 서버의 활성화가 동시에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대기 기자 / 김대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