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이슈 공공요금 인상 파장

물가 5.2%…공공요금 끌어올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세종=안재용 기자, 세종=유선일 기자] [통계청 1월 동향 발표…3개월 만에 상승폭 확대

전기·가스·수도 전년比 28.3% 급등, 역대 최고]

머니투데이

(서울=뉴스1) 장수영 기자 = 30일 서울 도심 내 주거시설에 설치된 전기계량기의 모습.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전력은 이날 2023년 1분기부터 전기요금을 kWh(킬로와트시)당 13.1원 인상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인상 계획에 따르면 4인 가구가 한달 평균 307kWh의 전기를 사용할 경우 약 4000원의 전기 요금을 더 부담하게 된다. 2022.12.30/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달 소비자 물가가 전년 대비 5.2% 올랐다. 전기료가 30% 가까이 오르는 등 공공요금이 급등한 영향이다. 전기·가스·수도 요금은 관련 통계가 나온 2010년 이후 가장 많이 뛰었다. 1월 한파로 농축수산물 물가도 크게 올랐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1월 소비자 물가동향'에 따르면 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0.10으로 전년 동월대비 5.2% 상승했다. 전월대비로는 0.8% 올랐다.

최근 둔화 양상이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개월 만에 반등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7월 6.3%를 기록한 뒤 △8월 5.7% △9월 5.6% △10월 5.7% △11월 5% △12월 5% 등을 기록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개월 만에 반등한 것은 전기료가 크게 올랐기 때문이다. 품목성질별로 보면 전기·가스·수도가 전년동월대비 28.3% 올랐다.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10년 1월 이후 최대 상승폭이다. 기여도는 전기·가스·수도가 0.93%포인트로 전월대비 0.17%포인트 상승했다.

농축수산물은 전년동월대비 1.1% 상승했고 공업제품은 6% 올랐다. 어획량 강소와 원/달러 환율 상승 등으로 수산물 가격 상승률이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개별 품목별로 살펴봐도 전기·가스·수도의 가격 상승폭이 컸다. 전기료는 전년 동월 대비 29.5%, 도시가스는 36.2%, 지역난방비는 34% 올랐다. 국제유가 상승 등으로 공공요금이 올라 난방비 등 에너지 관련 가격이 상승했다. 서비스는 전년동월대비 3.8% 올랐다. 특히 개인서비스가 5.9% 상승했다.

닭고기(18.5%)와 고등어(12.8%), 양파(33%), 귤(14.3%), 오이(25.8%), 파(22.8%), 돼지고기(1.9%) 등 농축수산물 가격도 크게 올랐다. 경유는 전년동월대비 15.6%, 등유는 37.7% 상승했다. 빵(14.8%)과 스낵과자(14%) 등 가공식품 가격도 상승흐름을 이어갔다. 전세는 전년동월대비 1.8%, 월세는 0.7% 올랐다.

머니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물가의 근원적 흐름을 나타내주는 지수 중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전년동월대비 5% 올라 지난해 12월보다 상승폭이 0.2%포인트 확대됐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기준 근원물가상승률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는 전년동월대비 4.1% 올라 지난해 12월과 상승폭이 같았다.

통계청은 소비자물가상승률이 반등했으나 전기료 등 공공요금 상승 등에 따른 것으로 기조적 상승이라 보기는 어렵다고 평가했다.

김보경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전기료 상승은 (물가의) 기조적 흐름과는 달라서 소비자물가상승률이 오르는데는 영향을 주지만 근원적 흐름과는 다르다"며 "가스료는 지난해 말에 이미 올랐고 올해는 추가적으로 오르지 않아 이번 소비자물가상승률 확대에는 전기료 인상이 영향을 줬고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 등의 올해 물가상승률 전망에는 (공공요금 상승이) 반영돼 있다"고 설명했다.

세종=안재용 기자 poong@mt.co.kr, 세종=유선일 기자 jjsy83@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