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미얀마 민주화 시위

국제왕따 미얀마, 러 손잡고 원자력 개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군사정권·로사톰 협력강화 협정

양곤대에 원자력기술센터 개소

2021년 쿠데타로 민주정부를 무너뜨리고 정권을 잡은 뒤 전 세계에서 ‘외교 왕따’가 된 미얀마가 역시 우크라이나 침공 때문에 고립되고 있는 러시아와 손잡고 원자력 개발에 나선다.

세계일보

양곤 원자력기술정보센터 개소식 참석한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과 알렉세이 리카체프 로사톰 CEO. 이라와디 홈페이지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와라디 등 현지매체가 8일 보도한 바에 따르면 미얀마 군사정권 수장인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과 러시아 국영 원전기업 로사톰의 알렉세이 리카체프 최고경영자(CEO)가 참석한 가운데 전날 양곤대 내에 원자력기술정보센터가 개소했다. 군정과 로사톰은 이날 원자력 에너지 인프라 건설 관련 협력을 강화하는 협정을 체결했다.

군정은 국영 언론을 통해 “로사톰과 협력해 소형 원자력발전소를 건설하고 전문 인력을 양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원자력 개발의 주요 목적은 미얀마의 전력난 해소를 위한 전기 생산이지만 보건, 농업, 산업 제조 부문의 원자력 기술 사용도 논의 대상에 포함됐다. 로사톰은 성명에서 “미얀마에서의 원자력 개발은 ‘평화적인 목적’으로 이뤄진다”고 말했다.

미얀마 군부는 2021년 2월1일 쿠데타를 일으켜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이 이끈 민주주의민족동맹(NLD)으로부터 정권을 빼앗았다. 이후 미국 등 서방국들의 제재와 비판 속에 러시아와 중국에 밀착하며 정치적 생존을 모색해왔다.

러시아는 전투기와 장갑차 등의 무기를 군부에 공급하며 이에 화답했다. 미얀마군이 사용하는 지대공 미사일 발사 차량을 제조하는 러시아 업체 카마즈는 지난해 군정과 생산 시설 일부를 미얀마로 이전하는 협상을 시작하기도 했다. 여기에 양국은 직항 노선을 개설하고 미얀마에 러시아 대학 분교 개설을 추진하는 등 군사, 에너지 외에 전 부문으로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서필웅 기자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