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시리아, 유엔과 구호품 받을 국경 추가 개방 합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유엔과 시리아가 이번 튀르키예·시리아 지진 최대 피해 지역 중 하나인 시리아 서북부 반군 점령 지역으로 구호품을 전달할 통로 두 곳을 추가로 개방하는 데 합의했다.

1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유엔은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대통령이 튀르키예에서 시리아 서북부로 국제사회의 구호물자를 전달할 국경 통로 두 곳을 추가해 3개월 동안 개방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마틴 그리피스 유엔 인도주의·긴급구호 담당 사무차장은 이날 시리아 수도 다마스쿠스에서 알아사드 대통령을 만난 뒤 바브 알살람과 알 라이에 추가 통로를 열기로 했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세계일보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대통령(오른쪽)과 마틴 그리피스 유엔 인도주의·긴급구호 담당 사무차장이 지난 13일(현지시간) 시리아 수도 다마스쿠스에서 회담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번 합의에 따라 통로가 추가로 열리면 막대한 지진 피해를 입고도 국제사회의 지원을 제대로 받지 못한 시리아 서북부 지역에 구호물자가 전달되는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시리아는 알아사드가 정권을 잡은 이후 국제사회의 제재를 받고 있어 튀르키예와 달리 원조를 거의 받지 못하고 있었다. 지진 피해 지역의 구호물자는 2014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이후 유일한 통로인 바브 알하와를 통해서만 전달되고 있다.

앞서 시리아 알레포 지진 피해지역을 찾은 그리피스 사무차장은 시리아 정부가 추가 통로 개설에 동의하지 않으면 안보리 결의를 추진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안보리 결의안 채택에는 찬성 9표가 필요하며 상임이사국인 러시아, 중국, 미국, 영국, 프랑스가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아야 하는데 알아사드 정권을 후원하는 러시아는 국경 추가 개방에 안보리 결의가 필요하지 않다는 입장이었다. 합의에 따라 국경이 추가로 열리게 되면서 안보리 결의 추진이 계속될지 여부는 확실하지 않아졌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바삼 삽바그 주유엔 시리아 대사는 시리아가 3개월 간 시리아 내부나 국경의 가능한 모든 지점을 통해 인도적 구호가 이뤄지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확인하면서 이번 합의는 시리아와 유엔 간에 이뤄진 것이므로 안보리 결의가 필요하지 않다고 말했다. 드미트리 폴랸스키 유엔 주재 러시아 차석대사도 “(이번 합의는) 시리아의 주권적 결정이기 때문에 결의안이 필요하지 않다”고 말했다.

현재 시리아 서북부에는 유일한 통로 바브 알하와 국경을 통해 각국 원조가 전달되고 있다. DPA통신은 시리아인권관측소를 인용해 쿠르드족 자치구에서 온 구호물자 트럭 75대가 시리아 북서부로 진입했다고 보도했다. 또 최근 이틀간 쿠웨이트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온 원조도 시리아 북서부로 전달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우중 기자 lol@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