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강제징용 피해자와 소송

윤 대통령 “강제징용 문제 대국적 결단…일본도 걸맞는 행동 있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상회담날 일본 언론 서면 인터뷰 보도

경향신문

윤석열 대통령(왼쪽)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지난해 11월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열린 동아시아 정상회의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16일 일본 방문을 앞두고 “강제징용 문제 해결은 한국 정부가 국민을 위해 대국적 차원에서 내린 결단”이라며 일본도 행동에 나서야 한다는 입장을 현지 언론에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아사히신문과 마이니치신문, 니혼게이자이신문 등에 보도된 서면 인터뷰에서 정부가 지난 6일 발표한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해법에 대해 “1965년 국교정상화 당시 합의와 2018년 한국 대법원 판결을 모두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한 결과”라며 이같이 밝혔다.

윤 대통령은 그러면서 “일본에서도 이에 호응해 역대 내각의 역사 인식을 계승하고 미래지향적 한·일 관계를 구축해 나가자는 의견을 표명했다”며 “그에 걸맞는 행동이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갈등과 반목을 넘어 미래를 향한 역사적 기회의 창을 열도록 양국이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또 한국의 강제징용 문제 해법 발표 후 양국이 일본의 수출규제 해제에 대해 논의하기로 한 것에 대해 “3년간 중단됐던 정책 대화 재개로 수출규제 문제의 합리적 해결책이 조속히 도출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1박2일 일정으로 일본을 방문해 기시다 후미오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한·일 관계 정상화 방안을 논의한다.

윤 대통령은 “앞으로 기시다 총리와 형식과 시기에 구애받지 않고 수시로 의사소통해 나가기를 희망한다”며 “특히 문제가 있을 때마다 수시로 상호 방문해 의견을 나누는 기회가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또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일본은 안보, 경제, 과학기술 등 여러 분야에서 협력하는 파트너”라며 “한·일의 미래지향적 협력은 양국은 물론 세계의 자유와 평화, 번영에 공헌한다고 확신한다”고 밝혔다.

이종섭 기자 nomad@kyunghyang.com

▶ [여성의 날] 당신의 차별점수는 몇 점일까요?
▶ 나는 뉴스를 얼마나 똑똑하게 볼까? NBTI 테스트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