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일회용품 사용과 퇴출

김지향 서울시의원 “장례식장·배달업종 등 일회용품 퇴출” 조례 추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김지향 서울시의원


서울시의회가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는 차원에서 장례식장 내 다회용기 사용 사업을 확대하고, 일회용품 사용을 적극 억제하는 조례를 추진한다.

서울시의회 운영위원회 김지향 의원(국민의힘·영등포4)은 29일 “장례식장, 배달업종 등의 일회용품 사용을 억제하고, 다회용품 사용을 권장하기 위한 제도적 근거 등을 반영한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 조례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1인 가구 증가와 코로나19로 인한 배달 및 소규모 구매 확대 등으로 국내 일회용품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환경오염과 자원낭비 등이 심각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환경부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 지침에 따르면 국내 일회용품 사용량은 지난 2019년 5043톤에서 2021년 7196톤으로 증가했으며, 환경부가 실시한 연구용역(폐기물 직매립 제로화를 위한 일회용품 사용억제 로드맵 마련, 2019년 11월) 결과에서도 국내 연간 배달용 일회용품 사용량은 용기류 1만 7300톤, 식기류 약 4000톤, 봉투 약 6000톤에 이른다.

또한 장례식장 한 곳에서 1년 동안 사용하고 버리는 일회용품의 무게는 11톤에 이르고, 전국 장례식장에서 발생하는 일회용 폐기물은 연간 약 3억 7500만개, 약 2300톤으로 추정된다.

런던 등의 해외 주요 도시는 대부분 두 자릿수 탄소배출 감축률을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울시는 2007년(5008만톤) 대비 2019년(4596만톤) 탄소 배출량을 8.2%밖에 줄이지 못하고 있는 상황 등을 고려했다.
서울신문

서울의료원 장례식장. 자료출처 : 서울의료원


이에 김 의원은 장례식장과 배달업종 등의 일회용품 폐기물을 감축하기 위해 서울시가 다회용기 공급과 세척·수거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업자의 일회용품 사용을 규제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으로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 조례’ 개정안을 마련했다.

개정안은 일회용품 줄이기 추진실적과 추진계획을 시의회에 보고하고, 관련 지원사업의 구체화와 다회용품 활용 시설의 설치·운영, 민간 전문기관의 운영, 장례식장, 배달업종 등의 일회용품 사용 억제와 다회용품 사용 권고 등의 규정을 신설해 일회용품 저감과 다회용품 사용 확대 사업의 실행력을 높였다.

서울시는 지난해 일회용컵·용기 줄이기 시범사업을 통해 156만개의 다회용 컵 사용과 43만 3880건의 다회용기가 이용되면서 총 343톤의 폐기물 감량에 성공했다.

개정안이 서울시의회의 의결을 거쳐 공포되면 상반기부터 서울시 내 장례식장(64개소) 등의 일회용품을 다회용기로 전환하도록 지원하면 세척·재공급으로 연간 약 288톤의 온실가스를 감축(1개소당 다회용기 전환 시 온실가스 4.5톤 감축)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 의원은 “서울의 탄소중립은 선택이 아니라 생존을 위한 불가피한 도전이다”라면서 “우리 사회가 직면한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장례식장, 배달업종 등의 일회용품 사용을 획기적으로 줄여 나갈 수 있도록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팀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