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기자수첩] '뱅크데믹' 안전지대는 없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웰슬리=AP/뉴시스] 27일(현지시간) 미 매사추세츠주 웰슬리에 있는 실리콘밸리은행(SVB) 지점에서 이곳 직원이 입구에 붙어 있던 안내문을 떼고 있다. 노스캐롤라이나주에 본사를 둔 중소은행 퍼스트시티즌스는 이달 초 파산한 실리콘밸리은행(SVB)을 인수했다. 2023.03.28.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금융권을 넘어 경제 전반의 최대 화두는 단연 '뱅크데믹'(Bankdemic)이다. 전세계적으로 은행 리스크가 마치 전염병처럼 급속하게 번진다는 뜻에서 나온 합성어다.

한국도 남의 이야기가 아니다. 지난 주말 사이 때아닌 토스뱅크 위기설이 SNS(사회관계망서비스)를 타고 급속도로 퍼졌다. 토스뱅크가 지난 24일 내놓은 '먼저 이자 받기 예금'을 두고 '유동성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확산한 것이다.

SVB(실리콘밸리은행)와 비슷한 채권 중심 자산 포트폴리오를 가진 데다 초기 적자인 재무 상태 탓에 토스뱅크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은 빠르게 퍼졌다.

금융당국과 홍민택 토스뱅크 대표가 진화에 나섰다. 금융당국은 토스뱅크 유동성 위기설은 오해라며 염려할 필요가 없다고 했다. 홍 대표는 "오히려 토스뱅크의 유동성이 너무 많은 편"이라고 일축했다.

뱅크데믹 불똥은 시중은행으로도 튀었다. 국내 은행권은 크레디트스위스(CS)의 코코본드(AT1) 전액 상각 사태로 투자자의 불안 심리가 커지자 콜옵션(조기상환청구권) 행사 방침을 속속 밝혔다. 은행으로선 뱅크데믹 여파로 유용한 자본확충 수단을 잃은 셈이다.

문제는 은행 자금조달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이다. 가뜩이나 금융권 유동성 위기론에 실탄 장전에 몰두하고 있는 은행들이 은행채 발행을 늘릴 필요가 커진 것이다. 은행채 발행 증가는 현재진행형이기도 하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채 발행 규모는 3조3667억원으로 전월보다 51.6% 급증했다. 상대적으로 우량한 은행채 발행이 늘면 제2금융권 등 유동성은 악화할 수 밖에 없다.

지난달 한국은행은 사상 첫 7차례 기준금리 인상을 멈추며 그간의 300bp(1bp=0.01%포인트) 금리인상 효과를 지켜보겠다고 했다. 여기에 그치지 말고 유례없이 가팔랐던 금리 인상의 부작용은 없었는지도 점검해봐야 할 것이다. 뱅크데믹의 근본 원인으로 중앙은행의 급격한 금리인상이 꼽히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하반기 레고랜드발 유동성 위기가 발생하자 은행간 은행채 거래를 허용하는 방안을 추진했지만 이후 금융시장 불안이 다소 해소되자 은행채를 적격담보증권 대상에 포함할지에 대한 논의를 멈춘 것도 한국은행이었다. 모바일 등 기술 발전으로 위기 전이 속도는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빨라졌다. 한국은행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기다.

머니투데이

/사진=박광범




박광범 기자 socool@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