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양창호 해운협회 부회장 "정부 차원 해운산업 중장기 비전 만들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해운협회-KMI, 해운 CEO 초청 세미나
"탈탄소 규제, 선원 부족, 통항료 급등 등
글로벌 해운환경 악화로 이중고 시달려"


파이낸셜뉴스

한국해운협회와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이 29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개최한 해운업 CEO 초청 세미나에서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하고 있다. 해양수산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국내 해운사 최고경영자(CEO)들이 "해운산업 발전을 위한 (정부 차원의) 중장기 비전이 필요하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한국해운협회와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이 전날 공동 개최한 2023 해운 CEO 초청 세미나에서 국적선사 CEO들은 "해운업계는 탈탄소 규제 강화, 선원 부족 현상 심화로 인한 비용 증가, 운하통항료 급등으로 인한 해운환경 악화 등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이날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세미나에는 송상근 해양수산부 차관 및 국적선사 CEO들이 참석했다. 이들은 최근 급변하는 해운업계 현안 과제를 논의했다.

이날 양창호 한국해운협회 상근부회장은 해운업계를 대변해 "IMO의 탈탄소화 규제 등으로 선사들은 향후 5년 이내에 친환경 미래연료를 사용해야만 하는 상황"이라며 "해운산업을 지속 가능한 산업으로 만들 수 있는 중장기 해운비전 수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선원 부족 현상에 대해 양 부회장은 "국적 해기인력의 장기 승선을 유도할 수 있는 특단의 조치들이 강구돼야 한다"며 "국적선원에 대한 처우개선, 복지 증진을 위해 필수·지정선박에 대한 한국인 선원 고용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그는 "선박관리, 선박금융, 선박보험 등 소위 해운 소프트웨어의 경쟁력 확보가 절실하다"며 "선박보험공제나 선주배상책임공제를 해운사들의 공제사업으로 추진해 선사들의 참여를 적극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날 세미나에서 송상근 해수부 차관은 "해운업계, 연구기관 및 정부가 함께 힘을 모아 반드시 해운 불황기와 수출 부진이라는 파고를 넘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부는 올해 3조원 규모의 국적선사 경영 안전판 대책과 탈탄소 규제에 대응한 친환경 전환 정책을 신속히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