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민주당 신임 당대표 박홍근

"베스트 파트너" 윤재옥-박홍근 '협치' 한 목소리…양곡법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the300]

머니투데이

[서울=뉴시스] 전진환 기자 = 윤재옥 국민의힘 신임 원내대표가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를 예방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3.04.10.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재옥 신임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10일 한 목소리로 여야 간의 협치를 강조했다. 4월 임시국회 기간 동안 각종 쟁점법안에 대한 첨예한 대립이 예고된 상황에서 원내대표 간 소통을 통해 일하는 국회를 만들자는 취지다.

윤 대표는 이날 오전 취임인사차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민주당 원내대표실을 방문해 박 원내대표와 상견례 자리를 가졌다. 두 원내대표는 이날 의정활동 중 맺은 인연을 언급하며 덕담을 나눴다.

먼저 박 원내대표는 "곧 임기가 끝나긴 하지만 인복이 있는 것 같다"며 "호흡 잘 맞춰온 주호영 원내대표도 인자하고 합리적이신 분이었는데, 윤재옥 원내대표도 인품이나 합리성, 꼼꼼함 등을 잘 알고 있다"고 했다. 이에 윤 원내대표도 "(박 원내대표가) 협상 전반에 대해 이해가 높기 때문에 파트너로서는 정말 최고의, 베스트 파트너인데 임기가 다 돼가 대단히 아쉽게 생각한다"고 화답했다.

서로를 향해 덕담이 오가던 대화 화제는 자연스럽게 여야 협치로 이어졌다. 박 원내대표 임기가 한 달이 채 남지 않았지만 4월 임시국회에서 선거제도 개편 합의를 비롯해 의논해야 할 쟁점현안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구체적인 방안을 거론하진 않았지만, 두 원내대표는 거대 양당의 대립으로 정치에 대한 국민적 신뢰가 무너지고 있다는 점에 우려를 나타내며 소통과 타협을 도모해야 한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윤 원내대표는 "21대 국회가 1년 밖에 남지 않았다. 남은 1년이라도 국민들께 정말 신뢰받는 모습을 함께 보여드려야 할 막다른 골목까지 왔다"라며 "지금처럼 조금도 양보하지 않고 그 길로만 간다면 결국 우리 국회는 국민들에게 외면받고 자칫 공멸의 길로 갈 수 있다는 절박함이 있다"고 했다. 박 원내대표도 "소통하고 협의하면서 민생을 우선시하는 일하는 국회의 모습을 함께 만들어 나가자"고 했다.

지난 8일 신임 원내대표로 선출된 윤 원내대표는 여야 대화채널을 확대하겠단 뜻을 거듭 나타냈다. 그는 "거야(거대 야당과의) 관계는 지금 사실상 협상 테이블에 함께하는 것 자체가 잘 안되는 상황인듯 하다"면서도 "제가 빠른 시간 안에 민주당 지도부와 만나서 필요한 일들을 논의해보겠다"고 말했다.

이날 상견례 전 진행한 최고위원회의에서도 윤 원내대표는 "정치 관련 기사마다 국회 해산하란 댓글 달리고 정치에 대한 국민 불신 높아지는 현실을 여야 모두 심각히 받아들이고 반성해야 한다"며 "당장 박 원내대표를 예방해 대화 협상 채널 복원과 협치의 길 찾자고 제안할 생각이다. 여야가 머리를 맞대고 합리적인 해결책을 찾도록 야당도 함께 해달라"라고 밝혔다.

머니투데이

(서울=뉴스1) 임세영 기자 = 윤재옥 국민의힘 신임 원내대표(왼쪽)가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김진표 국회의장을 예방, 기념촬영을 있다. 2023.4.10/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일정 수준이상 과잉생산된 쌀을 의무매입토록 하는 이른바 '쌀 의무매입법'(양곡관리법 개정안)을 민주당이 강행처리하고 윤석열 대통령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하는 등 정치퇴행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 간호법 제정안과 방송법 개정안, 노란봉투법(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 2·3조 개정안) 등을 놓고 강대강 대치정국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여야 원내지도부로선 이를 타개해야 할 책임을 짊어지고 있다.

윤 원내대표는 이날 박 원내대표를 만나기 전 김진표 국회의장을 예방한 자리에서도 협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윤 원내대표는 "21대 국회가 1년 밖에 안 남았는데 여야가 생산적인 협치하는 그런 남은 1년을 보내야하지 않겠느냐"라고 말했고, 김 의장도 "국회가 선거법 개정을 통해 대립과 갈등의 정치를 완화해 대화와 타협의 정치로 뿌리내릴 수 있도록 하는 협치의 제도화 좀 만들어보자"고 답했다.

큰 틀에서 협치에 대한 공감대를 확인하긴 했지만 쌀 의무매입법 재투표와 관련해선 이견을 조율하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날 두 원내대표는 비공식 차담에서 오는 13일 본회의에서 민주당이 진행하겠다고 밝힌 양곡관리법 재투표와 관련해 대화를 나눴지만 입장 차이를 확인하는 선에서 그친 것으로 전해졌다.

이수진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원내대표 상견례 후 기자들과 만나 "윤 원내대표가 재의 투표를 할 것이냐는 질문했고 박 원내대표가 당연히 진행할 생각이라고 했다"며 "민주당은 농민, 농해수위 위원의 반대의견이 있음에도 합리적 안을 마련하는 데 최선을 다했고, 그 안을 표결한 것인만큼 분명하게 13일에 처리하는 게 맞다고 협조를 요청 드린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윤 원내대표는 '박 원내대표가 양곡관리법 재투표를 하겠다고 했는데 대야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란 질문에 "서로 신뢰가 있고 (박 원내대표가) 합리적인 대표이기 때문에 현안 있을 때마다 수시로 소통하겠다"고 말했다.

유승목 기자 mok@mt.co.kr 오문영 기자 omy0722@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