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미술의 세계

전통문화 청년 창업 지원 확대…AI 개발 말뭉치 10억 어절 구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문체부 '제2차 문화진흥 기본계획' 발표…노인·장애인·지역 정책 담아

'제2차 여가 활성화 기본계획'·'청년문화정책 10대 과제'도 함께 발표

연합뉴스

인사말하는 박보균 문체부 장관
(서울=연합뉴스) 강민지 기자 =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11일 오후 서울 종로구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이음아트홀에서 열린 제2차 문화진흥 기본계획 및 청년문화정책 10대과제 보고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3.4.11 mjkang@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은정 기자 = 정부가 전통문화를 활용한 청년 창업 지원을 확대하고 인공지능(AI)의 한국어 처리 기술을 고도화하는 말뭉치를 2027년 10억 어절까지 구축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11일 서울 종로구 이음아트홀에서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제2차 문화진흥 기본계획'(2023~2027)을 발표했다.

5년간의 문화정책 기본 방향을 담은 이번 계획은 '공정하고 자유로운 문화매력국가'를 비전으로 4대 추진전략과 12대 추진과제로 구성됐다.

문체부는 전통문화 산업 진흥을 '오늘전통'으로 이름 붙이고, 전통문화가 상품 상용화 기술 등 관련 서비스 산업으로 확장하도록 연구 개발을 추진한다

국학자료 스토리텔링 원천 소재를 확보하기 위한 통합 플랫폼을 구축하는 등 민간기록문화 접근성을 높인다.

생성형 인공지능 챗GPT 등에 대응한 한국형 AI 언어모델 개발을 위해 '국어 말뭉치 구축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고 고품질 말뭉치를 2027년 10억 어절까지 구축한다.

노인, 장애인의 문화활동과 청년 창업을 지원하는 방안도 마련한다.

'6070 이야기예술인' 구연 활동을 통한 스타 발굴, 융복합 공연화, 전통 이야기 해외 보급 등을 추진한다.

정부와 공공기관 주요 발표 때 수어 통역과 점자 번역 지원을 2027년 연간 2천회로 확대한다. 영화와 전시 등의 수어 통역 영상 제작 지원도 늘린다.

청년들이 주도하는 전통문화 창업은 성장단계별로 지원한다. 2027년까지 예비창업 200팀, 창업 3년 이내 기업 100곳, 창업 3~7년 도약기 기업 30곳을 지원한다.

연합뉴스

제2차 문화진흥 기본계획 및 청년문화정책 10대과제 보고회
(서울=연합뉴스) 강민지 기자 =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앞줄 왼쪽 다섯번째)이 11일 오후 서울 종로구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이음아트홀에서 열린 제2차 문화진흥 기본계획 및 청년문화정책 10대과제 보고회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하고 있다. 2023.4.11 mjkang@yna.co.kr


이번 계획에는 지역 소멸에 대응하는 문화적 해결 방안과 지역 주민을 연결하는 과제도 포함됐다.

지역 문화 자원을 활용해 주민을 연결하는 '연결사회 지역거점'을 전국 단위로 확대 구축한다.

국민의 심리 안전망 구축을 위해 사회적 연결 정도를 측정해보는 '사회적 연결성 척도'를 개발하고, 삶의 활력을 회복하도록 돕는 '문화자유교실'을 내년에 시범 운영한다.

해외 예술기관과 협력해 국내 미술 작가의 기획 전시를 확대하는 등 K-컬처의 해외 진출도 돕는다.

올해 상반기에 국립세계문자박물관을 개관하고, 문화 공적개발원조(ODA) 지원 분야를 콘텐츠, 체육 등으로 확대한다.

K-컬처 확산 기지가 될 재외한국문화원을 2027년 37곳으로 증설하고, 문화 관련 해외거점기관 연계를 위한 코리아센터도 확대한다.

박보균 문체부 장관은 "자유롭고 공정한 문화매력국가로 도약하도록 마련한 정책과제들을 짜임새 있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문체부는 '제2차 여가 활성화 기본계획'(2023~2027)과 '청년문화정책 10대 과제'도 함께 발표했다.

'여가 활성화 기본 계획'은 국민의 '지속적 여가 참여율'이 2021년 기준 35.4%에서 2027년 57%까지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문화가 있는 날 참여 프로그램을 올해 전국 2천300개로 확대하고, 국민체력 인증 및 스포츠 활동 인센티브 규모를 올해 연간 5만 명에서 2027년 50만 명으로 확대한다. 여가권 보장을 위해 관계부처 등과 협의해 대체공휴일 지정 확대도 추진한다.

청년문화정책 10대 과제는 문체부 2030자문단인 'MZ드리머스'가 선정했다. 생애 첫 지원 확대, 불안정한 노동환경 개선 등이 포함됐다.

mimi@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