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인공위성과 우주탐사

누리호 3차 발사, 5월 24일 확정…실용위성 싣고 첫 우주 비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김인한 기자] (상보)누리호, 우주발사체 수송시장 도전…한화에어로스페이스 참여 "민간주도 뉴스페이스"

머니투데이

누리호 3호기가 1·2단 조립이 완료된 모습. / 사진제공=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II)가 내달 24일 실용 인공위성 8기를 탑재하고 세 번째 비행에 나선다. 누리호에 실용위성 탑재는 이번이 처음으로, 사실상 우주발사체(로켓) 수송 시장에 첫 출사표를 던지는 셈이다. 특히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이번 3차 발사부터 누리호 기술을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이전해 민간 주도 '뉴스페이스 시대'를 열게 될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1일 항공우주연구원 대전 본원에서 누리호 발사관리위원회(발사관리위)를 개최하고 누리호 3차 발사일을 5월 24일로 확정했다. 기상 등에 의한 일정 변경 가능성을 고려해 발사 예비일은 같은 달 25일부터 31일까지 설정했다.

발사관리위는 발사 예정시간을 당일 오후 6시 24분(±30분)으로 확정했다. 이는 누리호에 탑재될 주요 인공위성 '차세대소형위성 2호'를 우주 목표궤도 550㎞에서 최적 운용할 수 있는 시간이다. 다만 발사 당일 주어진 1시간을 놓치면 발사가 하루 순연될 수 있다.

차세대소형위성 2호는 합성개구레이다(SAR·Synthetic Aperture Radar)를 장착한다. SAR는 우주 궤도에서 한반도 상공을 주기적으로 도는데, 오후 6~7시쯤 발사해야 SAR 임무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SAR는 가시광선에 의존하는 광학 카메라와 달리 주야간 관계없이 구름 등 기상 상황에 간섭받지 않고 전천후로 정찰할 수 있다.

머니투데이

누리호 3차 발사 달라지는 점. / 그래픽=김다나 디자인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머니투데이

KAIST(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소가 개발한 차세대소형위성 2호. / 사진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



오태석 과기정통부 1차관(누리호 발사관리위원장)은 "현재 누리호는 1·2단 조립을 완료하고 각종 성능 시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3단부에 탑재하게 될 8기 위성은 최종 환경 시험 등을 수행 중"이라며 "위성은 내달 1~2일 사이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로 입고돼 3단 내 위성 조립과 1·2단과의 총조립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누리호는 우주로 인공위성을 수송하는 임무를 지닌다. 이번 3차 발사 주요 탑재 위성은 차세대소형위성이다. 부 탑재 위성으로는 한국천문연구원이 개발한 도요샛(4기)을 비롯해 △ 져스텍(1기) △루미르(1기) △카이로스페이스(1기) 등 7기다.

오 차관은 "누리호 3차 발사는 실용급 위성을 발사하는 최초의 시도이자 체계종합기업이 처음으로 참여한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며 "산학연이 발사 준비에 전력을 다하고 있으며 과기정통부도 성공적인 발사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항우연을 포함해 기술진들은 이달 말 발사 전 최종점검 종합훈련을 진행할 계획이다. 종합훈련에는 군·경·지방자치단체 등 11개 기관이 참여하며 발사 당일과 동일한 조건에서 비상상황을 가정해 훈련·점검한다.

머니투데이

도요샛이 우주 임무를 수행할 모습. 도요샛은 우주 플라스마의 미세구조 생성과 소멸에 대한 과학적 원리를 밝힌다. / 사진제공=한국천문연구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인한 기자 science.inhan@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