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세월호 인양 그 후는

“더 많이 모이고 자주 만날 공간 필요” 세월호 9주기, 교실은 ‘잊지 않으려는’ 분투의 장 됐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경기 안산에 위치한 4·16 기억교실에 방문한 모리 아야사씨가 13일 한 희생자의 방명록을 읽고 있다. 곽소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참사가 일어나지 않으려면 사람들이 더 많이 모이고, 자주 만나서 참사의 아픔을 터놓고 이야기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해요. ‘기억교실’은 그런 공간입니다.”(고 임경빈군 어머니 전인숙씨)

세월호 참사 9주기를 사흘 앞둔 13일 경기 안산시 단원구의 4·16 기억교실에서 만난 전씨는 오른쪽 손목에 노란색 세월호 팔찌와 스텔라데이지호 팔찌를, 왼쪽 손목에는 검은색 이태원 참사 팔찌를 끼고 방문객들을 맞았다.
서울신문

세월호 기억교실 2 - 기억교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9년 전 단원고의 2학년 교실에서 책상 하나, 나사 하나까지 그대로 옮겨 온 기억교실에는 벽에 걸려 있던 달력에도 ‘수학여행♡’이라는 빛바랜 글자까지 그대로 적혀 있었다.

초등학생부터 50대 아저씨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방문객들은 전씨의 설명을 들으며 희생자의 책상마다 올려져 있는 사진과 방명록 등을 살펴보다 고개를 숙였다. 책상에는 ‘꾸준하게 노력하자’는 낡은 낙서가, 방명록에는 “그 이후 교사가 됐다. 친구도 선생님도 보고 싶어 찾아왔다”는 글이 적혀 있었다.
서울신문

세월호 참사 9주기를 사흘 앞둔 13일 경기 안산 단원구 4·16 기억교실에서 만난 2학년 4반 임경빈군의 어머니 전인숙씨가 추모 메시지가 쓰여있는 칠판 앞에 서있다. 곽소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억교실에는 전씨를 포함해 3명의 어머니가 매일 상주하며 아이들을 한 명씩 소개하고, 세월호 참사 이후 구조와 정부 대응 등이 어떻게 전개됐는지 설명한다. 전날에만 7개 팀이 예약 방문을 했고 지난해 약 2만명이 기억교실을 찾았다. 10개의 교실과 교무실까지 둘러보며 안내를 하면 한 팀당 1시간이 훌쩍 지난다.

체력적으로도 정신적으로도 힘든 과정이지만 아이 손을 잡고 찾아온 단원고 졸업생, 병으로 자식을 잃고 남 일 같지 않다며 온 어머니, 씩씩하게 왔다가 숨죽여 우는 희생자의 친구들 등 여러 방문객과 아픔을 나눠 온 유가족에게 기억교실은 없어서는 안 되는 공간이다.

이날 기억교실에서 만난 생존자 유가영(26)씨 역시 기억하고 싶다는 용기로 최근 ‘바람이 되어 살아낼게’라는 에세이를 냈다. 유씨는 “사람들에게 알리려면 계속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생각했다”며 “특히 저처럼 힘든 시기를 보내는 청소년에게 제가 어떻게 극복하고 살아가는지를 보여주면서 희망을 주고 싶다”고 말했다.
서울신문

세월호 참사 9주기를 사흘 앞둔 13일 경기 안산 단원구 4·16 기억교실에서 세월호 생존 학생인 유가영씨가 자신이 쓴 에세이 ‘바람이 되어 살아낼게’를 들고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곽소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억교실을 운영하는 4·16 기억저장소는 이러한 유가족의 노력을 지속 가능하게 만들기 위한 해설 애플리케이션(앱) 제작도 준비 중이다. 방문객이 많아 유가족의 안내를 듣지 못하는 1인 방문객에게도 해설을 제공하거나 관련 사진이나 영상을 띄우기 위해서다.

시민들도 안 쓰는 휴대전화를 기부하는 등 저마다의 방식으로 기억교실을 응원하고 있다. 원태오 기억저장소 기록팀장은 “앱이 아이들 개개인의 이야기를 더 자세히 담을 수 있는 보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곽소영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