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우크라, 쿠르드족 손잡고 시리아내 러군 공격 계획했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 유출기밀…"러군·용병대 피해 늘려 우크라 철군 유도"

젤렌스키, 고심 끝 철회…쿠르드족 '누구편도 아니다' 부인

연합뉴스

"시리아 주둔 러시아군"(CG)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최재서 기자 = 우크라이나가 쿠르드족의 도움을 받아 시리아 주둔 러시아군을 공격하려 했다 계획을 철회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20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가 보도했다.

최근 소셜미디어를 통해 유출돼 파장을 일으킨 미국 기밀 문건에 따르면 우크라이나는 지난해 시리아에 있는 러시아군과 러시아 민간 용병대 바그너 그룹을 공격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이는 러시아에 군사적 비용을 증가시키고 우크라이나에 배치된 러시아군의 시리아 재배치를 유도하는 게 목적이던 것으로 전해진다.

러시아는 지난 2015년 시리아 정부군 지원을 통해 내전에 개입한 이래 시리아에 자국군 수천 명을 주둔시켜왔으나, 작년 가을 일부 병력을 우크라이나 전장에 투입하면서 규모가 다소 줄었다.

문건에 따르면 우크라이나군 정보 당국은 무인항공기를 이용해 소규모 공격을 벌이거나 바그너그룹으로 표적을 한정해 작전을 개시하는 방안을 선호했다.

또한 시리아 내 쿠르드족 민병대 연합체 시리아민주군(SDF) 정보원을 훈련해 러시아를 공격하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했다고 문건에 적혀있다.

SDF는 시리아에서 미군의 지원을 받아 극단주의 무장세력 이슬람국가(IS) 격퇴전에 힘을 보탠 조직이다.

기밀문건에는 SDF는 작전 수행의 대가로 훈련과 방공시스템, 작전 관련 기밀 유지 등을 요구했으며 쿠르드족 지역 내 러시아 기지에 대한 공격은 거부했다는 내용도 담겼다.

문건은 튀르키예 당국도 이 작전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역풍을 우려해 튀르키예가 지원하는 반군 통제 지역을 피해 쿠르드족 지역에서 작전을 수행할 것을 요청했다고도 전했다.

튀르키예는 SDF에 소속된 쿠르드족 민병대(YPG)를 테러단체로 규정해왔다.

연합뉴스

시리아-러시아 합동 군사훈련
[타스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그러나 우크라이나군은 작년 11월 보급로 및 군기지 등과 관련해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포착했고, 12월 29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계획 중단을 지시하며 작전은 무산됐다.

문건은 젤렌스키 대통령이 미국의 압박과 자국군 무인기의 한계, 작전 실패에 대한 우려 등으로 공격을 주저했을 수 있다는 추정도 덧붙였다.

또 우크라이나가 미국과 튀르키예에 도움 없이 계획을 재추진하거나 시리아 내 러시아군에 심각한 피해를 줄 가능성은 작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우크라이나가 실제 작전을 수행했다면 해당 지역 안에서 미국을 표적으로 한 러시아의 맞대응을 촉발할 수도 있었다고 예측했다.

SDF 측은 해당 문건과 관련해 "사실이 아니다"라며 "우리 군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누구의 편에도 선 적 없다"고 반박했다.

문건에서는 우크라이나의 시리아 내 러시아군 표적을 예상되는 러시아의 대응수위에 따라 순위를 매긴 내용도 있었다.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한 건 시리아 라타키아 공항 사진이 첨부된 '러시아 핵심 시설'이었고 '석유 및 가스 시설', '바그너그룹 기지'가 뒤따랐다.

문건은 시리아 해안과 수도 다마스쿠스 인근에 있는 러시아 주요시설에 대해 "이 지역을 공격함으로써 러시아에 가장 큰 피해를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acui721@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