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인공위성과 우주탐사

韓美, 25일 우주탐사 공동의향서 서명…우주통신·달 연구 협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尹 대통령, 해리스 美부통령과 NASA 고다드 우주센터 방문

연합뉴스

달 표면에 접근하는 우주선
[UPI 연합뉴스 자료 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워싱턴=연합뉴스) 김경희 특파원 = 한미 양국이 윤석열 대통령의 국빈 방미를 계기로 우주 탐사 공동의향서에 서명한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과 팜 멜로이 미 항공우주국(NASA) 부국장은 오는 25일 메릴랜드주 NASA 고다드 우주센터에서 우주탐사 및 과학분야 협력 공동의향서에 서명한다고 백악관과 NASA 관계자를 인용해 로이터통신이 24일 보도했다.

이번 서명은 윤 대통령이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의 안내로 고다드 센터를 방문하기 직전 이뤄진다.

이에 따라 양국은 우주 연구 분야 협력을 가속, 우주 통신 및 우주 항해, 달 연구 분야의 공조를 강화할 방침이다.

윤 대통령은 고다드 우주센터에서 한국계 전문가들과도 면담할 예정이다.

과학계에서는 이번 방문을 계기로 한국이 미국 주도의 유인 달 탐사 계획 '아르테미스'에 어떤 식으로 참여할지 논의가 이뤄질 가능성도 거론된다.

한국은 2021년 5월 아르테미스 협정에 서명해 10번째 참여국이 됐다. 협정에는 일본, 영국, 캐나다 등 미국의 주요 우방이 참여했다.

우주 분야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한국 정부가 미국과 협력에서 공을 들이는 분야 가운데 하나다.

특히 미사일 도발 수위를 높이고 있는 북한이 최근 군사 정찰위성 1호기를 완성해 조만간 발사할 것이라고 주장하는 등 위성 개발에 힘을 쏟고 있어 이에 대한 억제 역시 시급한 상황이다.

미국 역시 중국 등 경쟁국의 전방위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 동맹과 우주 분야에서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한국은 1992년 최초의 과학위성 '우리별 1호'를 발사한 뒤 꾸준히 위성 기술을 개발해 왔다.

한국군은 오는 11월 정찰위성 사업인 '425사업'의 전자광학·적외선(EO/IR) 위성을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 팰컨9 로켓에 실어 발사할 계획이다.

kyunghee@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