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일회용품 사용과 퇴출

종량제봉투 쓰레기 5년만 29%↑…1회용품 매일 37.32g씩 버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환경부, ‘제6차 전국폐기물통계조사’

코로나19 여파 생활폐기물 폭증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코로나19 영향으로 인해 비대면 소비 등이 증가하면서 재활용이 거의되지 않는 종량제봉투에 버려진 생활폐기물이 5년만에 29.5%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 국민들은 매일 1회용품을 37.32g씩 버렸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환경부가 27일 발표한 ‘제6차 전국폐기물통계조사’에 따르면 지난 2021~2022년 코로나19 여파로 생활폐기물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5년 전인 제5차 전국폐기물통계조사(2016~2017)와 비교하면 종량제봉투에 혼합배출되는 생활폐기물이 255.4g에서 330.8g으로 29.5% 증가했다. 폐합성수지류(53.16→93.3g), 물티슈류(10.59→22.49g), 음식물류(12.3→19.73g) 등이 크게 늘었으며, 코로나19 영향으로 마스크류(4.71g)도 큰 비중으로 올라왔다.

전국폐기물통계조사는 ‘자원순환기본법’에 따라 5년마다 실시되는 국가 통계조사로, 서면조사 및 표본추출 방식에 따른 현장조사를 병행한다. 특히 생활폐기물은 표본 집계구에서 발생하는 종량제봉투를 직접 열어 확인하는 파봉 방식으로 발생량과 종류를 조사한 내역을 담았다.

이 같은 종량제 쓰레기 배출량 증가로 1인당 하루에 버리는 생활폐기물은 950.6g으로 직전 조사 대비 2.2% 증가했다.

분리배출된 음식물류는 1인당 하루 310.9g으로 15.5% 감소했으며, 재활용가능자원의 분리배출량은 308.8g으로 직전 조사(306.5g)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다만 주거형태별로 분리배출양이 크게 갈렸다. 아파트 218.76g, 연립·다세대 85.99g, 단독주택 68.33g으로 최대 3배 이상의 격차를 보였다.

이번 조사에서는 처음으로 1회용품에 대한 현황도 조사했다. 우리 국민 1인당 하루에 1회용품을 37.32g 버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으로 2022년 기준 70만 3327t의 1회용품을 버리는 것이다. 이 중 3분의 2는 종량제봉투에 버려졌다.

일회용품 배출은 장상가, 업무시설, 음식점 등 소규모 사업장이 62.4%로, 가정부문에선 37.6%을 크게 웃돌았다. 종이컵, 광고선전물 등 폐종이류가 49%, 접시·용기 등 폐합성수지류가 41%이다. 이 밖에 젓가락, 이쑤시개 등 폐목재류 8.5%, 접시·용기 등 폐금속류 1.5%로 나타났다.

폐기물 처리는 재활용 89.1%, 소각 4.6%, 소각 외 중간처분 1.9%, 매립 4.3%로 집계됐다. 종량제봉투에 담겨 버려진 생활폐기물은 8%만 재활용됐다.

사업장폐기물은 경제규모(GDP 기준) 대비 발생량은 십억원당 0.24t으로 이전 조사보다 9.1% 증가했다. 사업장폐기물의 발생량 대비 실질적인 재활용률을 의미하는 순환이용률은 건설폐기물 98.8%, 사업장배출시설계 85.7%, 지정폐기물 63.3%, 사업장비배출시설계 61.4%로 나타났다.

김승희 환경부 자원순환국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확인된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을 바탕으로, 폐기물 감량 및 순환이용 확대를 위한 정책을 강화하겠다”라고 밝혔다.

환경부는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1회용품의 경량화, 재질 및 색상 등에 대한 기준 마련 등을 통해 재활용성을 강화하고, 매장의 접객방식 변경과 국민 인식전환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