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9 (목)

이슈 최악의 위기 맞은 자영업

2022년 자영업자 비은행권 대출 24% 급증… 부실 위험도 커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출 현황’ 들여다보니

저축銀 등 고금리 업권서 15%↑

비은행권 대출 비중 40% 육박

금리 인상 여파 연체율도 상승세

다중채무자 1년새 0.3%P 뛰어

5대銀, 상환 미뤄준 대출 37조원

연착륙 유도 위한 비상체계 가동

진선미의원 “맞춤 지원방안 필요”

세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말 자영업자의 비은행권 대출잔액이 1년 전보다 24% 넘게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축은행 등 상대적으로 높은 대출금리를 받는 ‘고금리 업권’의 자영업자 대출잔액은 1년 새 15% 가까이 늘었다. 주요 시중은행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극복을 위한 금융 지원 차원에서 만기를 연장하거나 원금·이자상환을 미뤄준 소상공인·중소기업 대출이 37조원에 육박하자 혹시 모를 부실 가능성에 대비해 비상체계를 가동하고 나섰다.

◆‘고금리 업권’ 대출 14.8%↑

7일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영업자 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자영업자 대출잔액(1019조8000억원) 중 은행권 대출은 618조5000억원(60.6%), 비은행권 대출은 401조3000억원(39.4%)으로 추산됐다. 1년 전(은행권 586조3000억원, 비은행권 322조9000억원)과 비교하면 은행권 대출잔액은 5.5%, 비은행권은 24.3% 증가한 규모다. 비은행권 대출 규모가 가파르게 늘면서 전체 자영업자 대출잔액 중 비은행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1년 4분기 35.5%에서 1년 새 3.9%포인트 뛰었다.

업권별로 보면 해당 기간 상호금융업권 대출잔액은 26.8%, 저축은행업권은 20.7%, 보험업권은 16.9%, 여신전문업권은 9.7% 각각 증가했다. 특히 저축은행·여신전문금융사·대부업과 같이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로 대출을 해주는 고금리 업권의 대출잔액은 48조7000억원에서 55조9000억원으로 1년 만에 14.8%(7조2000억원) 늘어났다.

전체 자영업자 차주 수는 262만1000명에서 307만명으로 1년간 44만9000명(17.1%) 늘었다. 이 가운데 3개 이상의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신용(신용등급 7∼10등급) 또는 저소득(소득 하위 30%)인 취약차주는 28만1000명에서 33만8000명으로 5만7000명(20.3%) 증가했다.

지난해 가파른 금리 인상 여파로 연체율도 오르면서 자영업 다중채무자를 중심으로 부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전체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이 2021년 말 0.16%에서 지난해 말 0.26%로 0.1%포인트 오르는 동안 자영업 다중채무자 연체율은 0.3%포인트(0.8→1.1%) 뛰었다. 진 의원은 “지난해 이어진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자영업자의 이자 부담을 경감하고 자영업자의 상환능력을 높이는 맞춤형 지원방안 수립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세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비상체계 가동 나선 은행권

은행권은 만기연장 등 금융지원을 받은 코로나19 피해 자영업자·소상공인의 대출 부실 위험 징후를 사전에 찾아 연착륙을 유도하기 위해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코로나19 금융지원 실적’ 자료에 따르면 지원이 시작된 이후 이달 4일까지 다양한 형태로 원금이나 이자 납기가 연장된 대출의 잔액은 36조6206억원, 건수로는 25만9594건(만기연장·원금상환 유예·이자유예 중복)이었다.

만기가 연장된 대출(재약정 포함) 잔액은 모두 34조8135억원으로 집계됐다. 대출 원금을 나눠 갚고 있던 기업의 ‘분할 납부액’ 1조5309억원도 받지 않고 미뤄줬고(원금상환 유예), 같은 기간 2762억원의 이자도 유예됐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9월 대출 만기를 금융권과의 자율 협약에 따라 최장 3년간 연장할 수 있도록 하고, 상환 유예의 경우 최장 1년간 미뤄준 상태다. 오는 9월부터는 재연장 결정이 없는 한 상환 유예 대상 차주들부터 금융지원이 사실상 종료돼 대출 부실이 현실화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KB국민은행은 지난해 말부터 내부적으로 ‘금융시장·실물경제 복합위기 비상 대응 협의체’를 운영하고 있으며, 부실 가능 기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해 채무상환 능력을 키우는 ‘KB 기업향상 프로그램’ 대상 등도 최근 확대했다. 하나은행도 지난 2월 연체율 등 자산 건전성 관리를 위해 ‘리스크 관리 태스크포스팀(TFT)’ 조직을 신설하고 선제적 위험 관리 등에 집중하고 있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코로나19 피해로 이자상환을 유예해서 이자를 받지 않아 온 자영업자 등의 대출규모가 꽤 큰 상황”이라며 “은행들도 대손충당금 적립 등 위험 관리 노력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강진 기자 ji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