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시위와 파업

"광주 진압 계엄군, 시위대 활동 전에 실탄 지급받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무력시위 진압하려 실탄 지급' 신군부 주장 거짓 드러나

광주·전남 최소 20곳서 50여회 발포…총상 사망자 135명

뉴스1

1980년 5월21일 오전 10시~11시쯤 광주 동구 금남로 전일빌딩 앞에 배치된 계엄군 장갑차에 12.7mm 기관총에 실탄이 장착돼 있다.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 제공)/2022.6.22/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광주=뉴스1) 최성국 기자 = '1980년 5월 광주시민들의 무력시위를 진압하기 위해 실탄이 분배됐다'는 전두환 신군부의 주장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는 16일 "1980년 5월21일 오후 1시쯤 시위대의 화염병 투척, 장갑차 돌진 이후 이뤄진 계엄군의 집단 발포 이전에 이미 일부 병력에 실탄이 분배됐었다"고 밝혔다.

특히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시위대가 화염병을 투척하기 전날인 5월20일부터 이미 장갑차 기관총에 실탄이 장착됐다는 진술이 확보됐다.

이는 '5·18학살은 무력진압을 제압하기 위해 진행된 것'이라는 그동안의 전두환 신군부 주장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대목이다.

계엄군은 집단발포가 이뤄진 21일 오후 1시 이전에 실탄이 분배되지 않았으며, 오후 1시쯤 시민들이 차량 돌진공격을 하고 나서 계엄군측 사상자가 발생하자 철수하는 31사단 경계병력들에게 실탄을 넘겨받아 가까스로 발포할 수 있었다'고 주장해왔다.

조사위는 계엄군의 진술과 현장사진 등을 통해 이같은 사실을 확인했으며, 계엄군이 저격수를 전남도청 본관, 민원실, 수협 도지부, 전일빌딩 등에 배치, 조준사격으로 여러명의 시민을 사망케한 것을 확인했다.

조사위는 "5월20일 광주역 발포, 21일 도청 앞 발포로 사상자가 다수 발생했지만 계엄군 현장 지휘관, 계엄사령부는 엄격히 발포현장을 통제하지 않아 총상 피해자가 더욱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또 조사위가 계엄군 진압작전을 재구성한 결과 광주·전남 일대 최소 20곳 이상에서 50여회 이상의 계엄군 발포가 있었다.

이같은 계엄군의 총격으로 인한 사망자는 총 135명이며, 총상 부상자는 최소 300명 이상인 것으로 확인됐다.

피해자들은 대부분 머리와 가슴 등 치명적 부위에 총격을 당했다.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의 진압작전 과정에서 희생된 사망자는 166명으로, 대부분이 총상을 입어 사망한 것이다.

조사위는 사망자들의 사망 경위, 원인, 장소, 날짜 등에 대한 세부적 조사를 시행한 결과 '저항 능력이 없거나 시위와 무관한 다수의 민간인'도 계엄군의 폭력 진압에 사망한 점도 확인했다.

사망자 중에는 14세 이하의 미성년자가 8명, 여성이 12명, 장애인과 60세 이상의 노령자 5명이 포함됐다.

조사위 관계자는 "현재까지의 조사 성과를 토대로 계엄군의 발포지역과 사망자 발생 지역 등을 현장 지도로 재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stare@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