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최악의 위기 맞은 자영업

벼랑끝 자영업자…39만 가구, 소득 70% 이상 빚 갚는 데 쓴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회재 의원, 통계청 가계금융복지 조사 분석

"금융지원 조치 연장, 저금리 대출 확대해야"

이데일리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서대웅 기자] 자영업 가구 중 약 39만 가구가 소득의 70% 이상을 빚 갚는 데 쓴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20일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의원이 통계청의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3월 말 기준 금융부채가 있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70% 이상인 자영업 가구는 38만8387가구로 집계됐다.

전국 2만여 가구를 표본으로 조사해 추정한 결과다. DSR이 70% 이상인 자영업 가구의 금융부채는 모두 109조원에 달했다.

전체 가구의 소득 하위 30%에 속하면서 금융부채가 있는 자영업 가구(39만1000 가구) 가운데 DSR이 70% 이상인 ‘고(高)DSR 가구’ 비중은 21.7%(8만5000 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금융부채가 있는 자영업 가구 전체의 고DSR 가구 비중인 12.4%의 약 2배 수준이다. 소득 하위 10%에 속하면서 금융부채가 있는 자영업 가구의 고DSR 비중은 43.9%로 평균의 3.5배 수준이었다.

소득이 적은 자영업 가구일수록 번 돈으로 빚 갚은 데 쓰는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DSR이 40%를 초과하면서 자산대비부채비율(DTA)이 100%를 넘는 ‘고위험’ 자영업 가구는 9만3000 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2020년(10만9000 가구)보다 소폭 줄어든 것이다. 그러나 금융부채 고위험 가구 가운데 저소득 가구는 약 2만 가구에서 3만 가구로 2년 새 45.6% 늘었다.

김 의원은 “자영업자와 서민의 고통이 계속되는 한 코로나19 위기는 끝난 게 아니다”라며 “금융지원 조치를 연장하고 소상공인에 대한 저금리 정책 자금 대출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