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넷플릭스 세상 속으로

넷플릭스, 미국에서 계정 공유 금지…한국은 언제부터? 주가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푸바르’ 시사회가 22일(현지시간) 열린 미국 로스앤젤레스의 한 극장 앞 레드카펫에서 아놀드 슈워제네거와 아파르나 브리엘레가 포즈를 취하고 있다. 로스앤젤레스 로이터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넷플릭스가 미국 시장에서 가구 구성원이 아닌 구독자들과 계정을 공유하는 일을 단속하기 시작했다. 한국 시장에서는 언제 이런 조치가 시작될지 궁금한데 이에 대해서는 아직 공개한 것이 없다.

넷플릭스는 23일(현지시간) 자사 블로그에 “오늘부터 미국에서 가구 구성원이 아닌 사람과 계정을 공유하는 회원들에게 이메일을 보낼 것”이라며 넷플릭스 계정이 한 가구 안에서만 공유되도록 하겠다고 공지했다. 넷플릭스는 이메일에다 “당신의 계정에 등록된 기기를 검토하고 접근 권한이 없는 기기를 삭제하거나 비밀번호를 바꾸는 방안을 고려하라”고 권고했다.

또 “당신이 가구 구성원이 아닌 누군가와 계정을 공유하길 원한다면 그들이 직접 요금을 지불하도록 새 멤버십으로 프로필을 이전하거나,추가 회원 요금을 지불하라”고 안내했다. 기존 계정에 가구 구성원이 아닌 사람을 추가하려면 한 달에 7.99달러(약 1만원) 이상을 내야 한다고 넷플릭스는 안내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런 요금으로 이용자를 추가할 수 있는 옵션은 기본적으로 월 15.49달러(약 2만원)를 내는 스탠더드와 월 19.99달러(약 2만 6000원)를 내는 프리미엄 버전 구독자에 한정된다고 전했다.

넷플릭스는 지난해 11월 구독자 확대를 위해 월 6.99달러(약 9천원)의 광고 시청 요금제를 출시한 바 있다. 광고가 없는 베이식 요금은 월 9.99달러(약 1만 3000원)다. 요금 수준에 따라 동시 접속 가능 인원이 달라지는 체계다.

넷플릭스는 그동안 전 세계적으로 구독자들이 계정을 공유해 공짜 시청자들이 많아지면서 수익성 개선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계정 공유를 단속하겠다는 방침을 여러 차례 밝힌 바 있다. 또 지난달 1분기 실적 발표 때 이런 조치를 2분기부터 시작하겠다고 못박았다.

넷플릭스는 앞서 일부 남미 국가에서 시범적으로 계정 공유를 금지한 결과 단기적으로는 가입자 수가 줄었지만, 시간이 흐르며 가입자 수가 다시 늘었다면서 “장기적으로는 더 큰 수익 기반을 보장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그러나 정작 이날 미국 증시에서 넷플릭스 주가는 1.93% 떨어졌다.

임병선 선임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