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무병장수 꿈꾸는 백세시대 건강 관리법

[건강한 가족] 단순 비만과 다른 고도비만, 수술이 표준치료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고 하태경 한양대학교병원 외과 교수





중앙일보

인간은 언제부터 많이 먹었을까. 오래전부터 인간은 식량이 부족한 시기에 생존하기 위해 적절한 방법으로 진화해 왔다. 식량이 풍부한 경우에는 포식하다가도 부족한 시기가 오면 간헐적으로 결핍에 시달렸다. 인간의 몸과 유전자는 이따금 포식하고 그 밖의 시간에는 허기를 견뎌야 하는 환경에 맞춰 진화했다. 오늘날의 식생활은 인류가 처음 나타났던 태곳적 환경과 매우 다를 것이다. 게다가 과거와 달리 현대인은 스마트폰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 원하는 음식을 마음껏 먹을 수 있다.

비만은 과도한 음식 섭취 등으로 지방이 정상보다 더 많이 축적된 상태다. 질병관리청의 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만 19세 이상 성인의 37%가 비만인 것으로 확인됐다. 성인 10명 중 약 4명은 비만인 셈이다. 1998년만 해도 비만율은 26%였다. 특히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보면 남자의 경우 두 명 중 한 명에 해당하는 46%가, 여성은 약 27%가 비만이다.

비만 인구가 많은데도 비만 종류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다르다는 사실을 아는 이는 많지 않다. 암도 병기가 있듯이 비만도 등급이 정해져 있다. 통상 체질량지수 30㎏/㎡ 이상일 때를 고도비만으로 본다. 이를 기준으로 치료 방법과 경과도 달라진다. 체질량지수 30㎏/㎡인 경우에는 단순한 식이요법, 운동요법, 약물치료로 해결이 되지 않고 당뇨병, 고지혈증, 고혈압과 같은 대사 질환 유무에 따라 치료 방향을 달리 잡아야 한다.

체질량지수가 35㎏/㎡ 이상인 초고도비만이라면 생명의 위협을 느낄 수 있는 질병을 하나 이상은 갖고 있기 마련이다. 운동을 통해 살을 빼고 싶어도 걷기가 힘들고 심한 관절통으로 초기 처방을 못 하는 경우도 다반사다.

이처럼 고도비만일 때는 비만의 치료 방법과 다르게 접근해야 한다. 특정 암의 특정 병기에 표준치료(standard treatment)가 있듯 고도비만의 표준치료는 수술이다. 수술 전후 다양한 치료 방법을 같이 시행하는 게 필요하겠지만 표준치료를 시행하지 않고 근본적인 치료 효과를 얻을 수는 없다.

따라서 고도비만의 치료에 있어 수술은 마지막 선택 사항이 아닌 일차 치료 방법으로 정해 해나가는 게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를 이해하고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고도비만이라는 병에 대해 아는 게 필요하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비만을 질병이라고 규정했다. 많은 연구를 통해 비만이 고도비만으로 악화하고 이후 치료가 늦어지면 초고도비만까지 진행할 수 있다고 알려졌다. 암도 조기에 적절한 방법으로 치료를 시행하면 100%의 생존율을 얻을 수 있듯 고도비만도 마찬가지다. 환자의 특성과 동반 질환에 맞는 치료를 초기에 적절한 방법으로 시행하면 100%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아둬야 한다.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