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금리 3.5%→4.0%로 올리고
대신 우대금리 2.0%→1.5%로 낮춰
최고 6.0% 유지가 다수
청년도약계좌 협약식 및 간담회가 12일 서울 중구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가운데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청년도약계좌는 연봉 7500만원 이하 중 가구소득이 중위 180% 이하, 만 19~34세 청년을 대상으로 공급하는 상품으로 오는 15일 출시된다. 임세준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홍승희 기자] ‘눈 가리고 아웅하기’식 금리산정으로 뭇매를 맞았던 은행들이 청년도약계좌의 기본금리를 올리고 우대금리 조건을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일부 은행은 최고 금리 자체를 6.5%로 조정할 방침이다. 기업은행 등 최고금리를 6.5%로 설정한 은행들은 청년도약계좌가 너무 한 곳에 쏠릴 경우 대규모 손실이 우려되는 만큼 가입자 상한을 금융당국에 요구하고 있다.
“월급통장 바꾸고 카드 실적 채워야” 우대금리 낮추고 조건 완화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은 현재 청년도약계좌의 기본금리를 지난 8일 잠정 공시한 3.5%에서 4.0%로 조정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동시에 다수 은행은 여러 조건을 달아 책정한 최대 우대금리를 지난주 공시 당시 2.00%에서 1.50%로 낮춰, 소득 조건별 최대 우대금리 0.50%포인트까지 더한 최고 금리 수준을 6.00%로 유지할 계획이다.
당국 등의 요청대로 기본금리 비중은 늘리고(58.3→66.7%), 우대금리 비중은 줄이면서도(33.3→25.0%) 지나친 역마진을 고려해 최고 금리가 6%를 넘지 않도록 관리하겠다는 계산이다.
아울러 과도한 카드 결제 실적 등을 우대금리 조건으로 내걸었던 은행들의 경우 조건을 완화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은행들이 1차적으로 임시 공시한 청년도약계좌 금리[출처 은행연합회]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직 소수지만 일부 은행은 우대금리 2.00%포인트를 그대로 둔 채 기본금리만 0.50%포인트 올려 최고 금리를 6.00%에서 6.50%(4.00+0.50+2.00%)로 상향 조정하는 안도 준비하고 있다. 지난주 이미 기본금리와 소득·은행별 우대금리를 더해 6.50%(4.50+0.50+1.50%)를 제시한 기업은행과 같은 수준이다.
만약 현재 검토 중인 안대로 오는 14일 확정 금리가 공시될 경우, 청년도약계좌 시장은 최고 6.5%를 보장하는 소수 은행과 최고 6.0%를 고수한 다수 은행으로 나뉘게 된다.
이 경우 앞서 지난해 비슷한 성격의 청년희망적금 판매 당시 확인된 것처럼, 불과 0.1∼0.2%포인트라도 더 주는 은행으로 가입자가 몰려 결국 해당 은행은 최대 수천억원 규모의 손해를 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은행권은 개별 은행의 가입자가 일정 기준에 이르면 판매를 종료할 수 있는 ‘가입자 수 상한’을 설정해달라고 금융당국에 요청한 뒤 답을 기다리고 있다.
“금리 제일 높은 기업은행에 맞췄으면” 당국 내심 기대
청년도약계좌 협약식 및 간담회가 12일 서울 중구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리고 있다. 청년도약계좌는 연봉 7500만원 이하 중 가구소득이 중위 180% 이하, 만 19~34세 청년을 대상으로 공급하는 상품으로 오는 15일 출시된다. 임세준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하지만 주요 은행들이 현재 검토하는 안대로 기본금리를 다소 올려도, 당국의 눈높이에는 여전히 미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금융 당국 측은 기업은행이 기본금리를 4.5%로 제시했고, 한 곳만 너무 높으면 쏠림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다른 은행들도 기본금리를 그 정도 수준으로 조정하길 내심 바라는 모습이다. 역마진 우려 등이 있을 수 있지만 사회 공헌 측면을 더 고려해달라는 것이다.
당국 입장에서는 젊은 세대에게 가장 친숙한 인터넷은행들이 이번 청년도약계좌 판매에 동참하지 않은 것도 아쉬운 부분이다.
당초 금융당국은 카카오뱅크·토스뱅크 등 인터넷은행들에도 청년도약계좌 출시를 권유했지만, 한목소리로 대면 업무를 처리할 오프라인 지점이 없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거부한 것으로 전해진다.
다만 당국과 여론을 의식한 인터넷은행들은 관련 계획을 묻자 공통으로 “추후 참여를 검토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hss@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