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1 (토)

이슈 G7 정상회담

"G7만으로는 버겁다"… 세계가 보는 '+코리아' 가능성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창간기획-G7+한국, G8 시대 준비하자]②
동아시아 안보 이슈 급부상… 러시아 빠지며 북미·유럽에 편중
인도·한국 등 'G7+α'로 거론돼… "어떤 형태로든 보폭 넓혀야"

머니투데이

왼쪽부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달 일본 히로시마에서 개최된 G7 행사장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기시다 총리의 초청을 받아 참관국 자격으로 G7 정상회담에 자리했다. /AFPBBNews=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과 우크라이나 전쟁을 거치면서 주요 7개국(G7, 미국·일본·영국·프랑스·독일·이탈리아·캐나다) 체제가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안보 이슈가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급속히 전개되고 신흥경제국이 빠르게 성장하는 등 '다극화' 움직임 속에 유럽·북미 중심의 G7 체제로는 '세계 리더'로서 위상을 유지하기 힘들다는 목소리다. 한국을 G7에 편입시키자는 의견도 대안으로 거론된다.


세계 안보의 핵이 된 동아시아, 'G7+α' 거론되는 이유

코로나19 팬데믹과 미·중 반도체전쟁,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 북핵 위기 등이 겹치면서 동아시아는 세계 안보의 핵으로 떠올랐다. 이르면 2027년 중국이 대만을 상대로 군사행동을 벌일 것이란 전망까지 나온다. 헨리 키신저 전 미국 국무부 장관은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이대로 미·중 갈등이 지속된다면 중국과 대만 충돌은 불가피하다"고 경고했다.

갈등은 이미 신냉전 구도로 비화했다. 권위주의를 공통 분모로 하는 시진핑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브릭스(BRICS, 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남아공)를 결집해 G7 체제에 정면 도전하고 있다. 브릭스 국가들이 적극 호응하고 있는 '탈달러'는 화폐전쟁의 서막이라는 시각도 있다. 브릭스는 회원국 무역에 자체 통화를 사용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머니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브릭스에는 원유 위안화 결제를 고려 중인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해 태국,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태평양 국가들도 가입 의사를 밝혔다. 이들 국가들이 합류하면 신흥국 중심의 브릭스는 그간 G7이 주목하지 못한 국제이슈를 다루며 G7의 리더십에 도전할 수 있다. G7으로선 보다 다양한 지역의 목소리를 반영해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 과거 'G8' 시절에는 러시아가 브릭스와의 사이에서 중재역할을 했다. 그러나 2014년 크림반도 강제합병 이후 러시아가 퇴출돼 G7으로 축소되면서 다른 국제 세력과의 연결고리가 약해졌다.

일본 영자신문 재팬타임스는 "국제기구들이 새로운 국제사회 환경에 어떻게 적응해나갈지, 지속가능한 해결 방식을 제시할 수 있을지 의문을 던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G7는 지정학적, 문화적으로 (유럽과 북미에) 편중돼 있다"고 평했다. 이어 "전세계를 아우르는 영향력을 유지하려면 G7은 무게 중심을 동쪽으로 옮겨야 할 것"이라고 했다.

재팬타임스가 제시한 대안은 G7에 한국, 호주를 더해 G9을 출범하는 것. 재팬타임스는 "세계 GDP 순위에서 각 10위, 13위를 차지하는 한국, 호주를 G7에 참여시키면 태평양 지역에 보다 무게를 둘 수 있게 된다"며 "두 국가는 대러시아 제재를 성실히 이행 중인 만큼 G7의 정치경제적 영향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머니투데이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 등 브릭스 외무장관들이 2일(현지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 타운에서 열린 회의 중 단체 사진을 찍고 있다. /로이터=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일관계 회복으로 달라진 기류, "한국이 관심 드러내야"

과거 일본은 한국의 G7 합류를 반대해왔으나, 윤석열 정부 들어 한일 관계가 개선되면서 분위기가 달라지고 있다. 미국 싱크탱크 헤리티지 재단에서도 한국의 G7 참여를 고려해볼 만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앤서니 킴 헤리티지 재단 수석연구원은 지난달 게재한 칼럼에서 윤석열 정부 들어 한일 관계가 완화되고 있다며 "미국과 일본은 한국을 G7에 받아들이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자유민주주의 진영을 향한 러시아, 중국의 도전으로 G7의 어깨가 무거워졌다. 이들에 맞설 수 있는 것은 G7뿐"이라며 "자유민주주의의 모범사례라고 할 수 있는 한국이 G7에 참여한다면 장점을 발휘할 수 있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한국이 G7 참여에 어느 정도의 의지를 보이느냐가 관건이라고 분석했다. 패트릭 크로닌 허드슨연구소 아시아태평양 안보석좌는 지난달 미국의소리(VOA) 인터뷰에서 "한국이 영국(2021년)에 이어 일본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에 초청된 데는 이유가 있다. 정말 같은 클럽의 일원이기 때문"이라며 "한국이 (G7 가입에) 더 적극적으로 관심을 드러내야 한다"고 말했다.

쿼드(Quad, 미국·인도·호주·일본) 일원인 인도를 러시아의 대안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하지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 이후에도 러시아와 무기·원유 거래를 지속하는 데다 미국의 최대 경쟁국인 중국과는 긴장 관계라 중재자 역할을 기대하기 어렵다. G7에 남미 국가가 없다는 이유로 브라질을 참여시키자는 의견도 나오지만 동아시아 안보 문제를 다루기엔 지정학적 약점이 있다.

어떤 형태로든 G7이 보폭을 넓혀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린다. 지난달 히로시마 G7 정상회의 때는 한국, 호주(이상 아시아태평양), 인도, 브라질(이상 브릭스), 인도네시아, 베트남(이상 동남아시아), 코모로(아프리카), 쿡 제도(남태평양) 등 8개 비회원국이 초청받았다. 중동이 빠졌지만 다양한 지역이 포함됐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G11(G7+한국·러시아·인도·호주), 혹은 G12(브라질 포함) 체제로 G7을 개편하자는 구상을 내놓기도 했다.

김종훈 기자 ninachum24@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