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30 (토)

이슈 고령사회로 접어든 대한민국

부모 봉양·자녀 양육에 혼신 다하다 노후 준비 못 한 격동의 세대… 노인 빈곤율 OECD 1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OECD 회원국 은퇴 연령층 상대적 빈곤율. 통계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66세 이상 은퇴 연령층의 상대적 빈곤율이 43.2%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 빈곤율은 월 소득이 중위소득의 50% 미만 인구 비율로, 한 달에 임금근로자 평균 중위소득 250만원의 50%인 125만원도 채 벌지 못하는 노인이 10명 중 4명 이상이란 의미다. 과거 가족 구성원 위주이던 부양 주체가 정부·사회로 바뀌는 인식 변화도 감지됐다.

통계청이 26일 발간한 ‘통계플러스 여름호’에 실린 이슈분석 ‘노후생활과 부양 문제에 관한 고령자의 견해’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기준 66세 이상 고령자의 상대적 빈곤율은 43.2%로 OECD 회원국 중 유일하게 40%대를 돌파하며 1위를 기록했다. 다른 주요국은 호주 23.7%, 미국 23.0%, 일본 20.0%, 영국 15.5%, 캐나다 12.6%, 이탈리아 11.3%, 독일 11.0%, 프랑스 4.4% 등으로 우리나라와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빈곤율이 0%에 가까울수록 노인 소득이 중위소득의 50%를 웃돌아 윤택한 노후가 보장되고 있다는 의미다.

노인 빈곤율이 세계 최고 수준으로 높다는 건 우리나라에 노후 준비가 덜 된 사람이 많다는 얘기다. 올해 기준 70세 이상인 이들은 우리나라 산업화·민주화의 주역이자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를 정통으로 맞닥뜨린 세대다. 격동의 시대를 살아오며 부모 봉양과 자녀 양육에 혼신을 다하느라 자신의 은퇴 이후 삶은 미처 준비하지 못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통계청은 우리나라 고령화 속도가 세계 최고 수준인 점도 재확인했다. 2년 뒤인 2025년이면 올해 18.4%인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5명 중 1명(20.6%)을 넘어서게 될 것으로 예측됐다. 노인 인구 비중이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되는데 우리나라는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 데 단 7년밖에 걸리지 않는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영국은 50년, 프랑스는 39년, 독일은 36년, 이탈리아는 19년, 미국은 15년, 일본은 10년이 걸리는 것으로 예상됐다.

노후 준비는 갈수록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기준 65세 이상 고령자 중 본인이나 배우자가 직접 생활비를 마련하는 비중은 65.0%로 10년 전보다 13.4% 포인트 높아졌다. 노후 준비를 하고 있거나 이미 준비된 노인 비중은 10년 새 16.6% 포인트 증가한 56.7%로 집계됐다. 부모 부양 책임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는 과반이 ‘가족·정부·사회가 함께’라고 답해 부양 주체가 과거 ‘가족·자녀’에서 ‘정부·사회’로 옮겨간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 곽소영·이영준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