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이슈 무병장수 꿈꾸는 백세시대 건강 관리법

“치매 정복 가능성↑”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에 고규영 KAIST 교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치매 유발 뇌척수액 노폐물 주요배출경로 세계 최초 규명

헤럴드경제

고규영 KAIST 특훈교수.[과기정통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는 2023년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고규영(사진) 한국과학기술원 특훈교수(기초과학연구원 단장)을 선정했다.

고규영 교수는 뇌 속 노폐물 배출경로, 림프절에 도달한 암세포 생존전략을 규명하는 세계적인 연구 성과를 이루고 최고 권위의 국제학술지인 네이처, 사이언스 등에 발표, 림프관 분야에서 연구동향을 선도하는 등 우리나라 연구수준을 세계적으로 드높이는 데 기여를 했다.

고규영 교수는 치매 등 퇴행성 뇌질환을 유발하는 뇌 속의 노폐물이 뇌 밖으로 배출되는 주요 경로가 뇌 하부에 있는 뇌막 림프관임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또한 같은 연구에서 나이가 들어갈수록 노폐물 배출능력이 떨어지는 뇌막 림프관 기능 저하를 함께 확인했다. 이 연구결과는 뇌의 인지기능 저하, 치매 등 퇴행성 뇌질환 치료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고 교수는 림프관 경유 암세포가 림프절로 전이하기 위해 지방산을 핵심 연료로 활용한다는 사실도 최초로 밝혀냈다. 기존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암세포가 포도당을 주 에너지원으로 쓴다는 것이 정설이었으나 고 교수는 기존 암 연구와는 다른 접근법을 적용하여 면역기관인 림프절에 전이되어 성장하는 암세포의 생존전략을 규명했고 이 연구결과는 향후 암 치료에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는 토대가 되고 있다.

헤럴드경제

고규영(오른쪽) KAIST 특훈교수.[IBS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그는 암성장과 림프절 전이에서의 암혈관과 림프관의 특성, 쉴렘관(각막주위 림프관)의 항상성 유지와 녹내장 발생 원인을 규명하는 등 림프관 관련 연구에서 선도적인 성과를 도출했다.

고 교수는 연구 중심 의사과학자로서 한국과학기술원 의과학대학원 교수로 재직하면서 의과학분야 석박사생 등 인재를 양성하고 국제혈관생물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2015년 7월 기초과학연구원(IBS) 혈관연구단 단장으로 선정돼 활발한 연구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은 우리나라를 대표할 수 있는 탁월한 연구성과를 이룬 과학기술인을 발굴하여 국민들에게도 널리 알려 명예와 자긍심을 높이고자 2003년부터 시상해온 우리나라 최고 권위의 과학기술인상이다.

올해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의 경우 지난해 말부터 공모와 발굴, 추천을 통해 접수한 후보자 총 23명을 대상으로 3단계 심사과정(전공자심사–분야심사–통합심사)을 거쳐 최종적으로 수상자 1명을 선정했다.

과기정통부는 오는 5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개최하는 제1회 세계한인과학기술인대회 개회식에서 수상자에게 대통령 상장과 상금 3억원을 수여할 계획이다.

nbgkoo@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