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이슈 무병장수 꿈꾸는 백세시대 건강 관리법

[건강한 가족] 항알레르기·스트레스 개선·항산화 효과까지 입증된 전통 약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침향의 효과



침향 나뭇진 수십년 굳어져 생성

예로부터 통증 완화 등 효과 탁월

제품 선택 시 품질 꼼꼼히 따져야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침향(沈香)은 좀 독특한 전통 약재다. 일반 약재와 달리 약재로서 가치를 지니기까지 기나긴 세월이 필요하다. 침향나무가 분비하는 나뭇진이 짧게는 10~20년, 길게는 수백 년 동안 굳어진 것이 침향이다. 효과가 탁월해 다양한 증상과 질환을 잡는 데 쓰였다. 옛날부터 귀하게 여겨진 것은 당연하다. 고서에 이런 기록들은 고스란히 남아 있다. 이뿐만이 아니다. 현대에 와선 핵심 성분과 추가 효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실제로 그동안 명시되지 않았던 새로운 효능과 가능성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특히 현대인에게 필요한 항알레르기, 스트레스 개선, 뇌 건강, 심신 안정, 항산화 효과가 지금도 연구를 통해 확인되고 있다. 잠재성까지 풍부한 약재다.



심신 안정 효과 등 과학적 입증



침향의 잠재성을 보여주는 연구는 다양하다. 알레르기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대표적이다. 연구팀은 알레르기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Anti-DNP-IgE를 함유한 생리식염수 용액을 수컷 흰쥐에게 피하 주사하고 48시간 경과 후 피부 부위를 절취해 아나필락시스 반응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침향의 추출물 용량이 증가할수록 알레르기 증상의 원인인 히스타민 유리의 억제 효과가 뚜렷했다. 특히 0.8㎎/mL의 농도에서 94.1%의 억제율을 보였다. 연구팀은 “침향 추출물은 아나필락시스성 쇼크를 억제하고 흰쥐의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 유리를 용량 의존적으로 억제한다”고 결론 내렸다. 침향 성분의 함량이 많을수록 항알레르기 효과가 크다는 의미다.

스트레스 반응을 줄여주는 효과도 연구를 통해 입증됐다. 연구팀은 우선 성인 남녀 16명을 대상으로 22개 문항에 이르는 스트레스 반응 척도를 측정한 뒤 전기 향로를 이용해 침향을 흡입한 대상자들의 스트레스 반응을 분석했다. 그 결과 스트레스 반응 지수의 전체 항목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침향 흡입 후 알파(alpha)파가 증가했고, 우측 측두엽에서 반응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알파파는 긴장을 풀고 휴식하는 상태에서 발생하는 뇌파를 말하고, 우측 측두엽은 감정에 영향을 주는 뇌 부위다. 알파파가 증가할수록 주의력·사고력·집중력·기억력·창조력이 증진되고, 감소할수록 불안·스트레스가 지속한다. 연구팀은 “침향이 스트레스와 뇌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했다”며 “이번 침향 흡입 후 스트레스 반응 결과는 기존 문헌에서 밝혀진 진정 효과와 일치한다”고 밝혔다.

침향은 항산화 활성 기능도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침향 1.2㎏을 잘게 부숴 80% 메탄올 8L로 3일간 3회 반복 추출해 얻어진 용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해 얻은 185.3g의 추출물을 물에 현탁했다. 그리고 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도를 카테킨을 대조군으로 삼아 평가했다. 카테킨은 ‘천연 항산화제’로 불리는 녹차의 핵심 항산화 성분이다. 연구팀은 “침향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평가를 실시한 결과 항산화 활성 효능은 시료 처리 농도에 비례했다”며 “더욱 우수한 효능의 화합물이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했다”고 밝혔다.



『본초강목』 등 고서에도 명시



침향이 얼마나 많은 증상을 가라앉히는 데 사용됐는지는 옛 의약서에 분명하게 기록돼 있다.

중국 당나라 의서인 『해약본초』에는 “침향은 맛이 쓰고 따뜻하며 독이 없다. 가슴과 배의 통증, 곽란으로 인한 중악, 사귀에 의한 질병을 다스리고 정신을 맑게 한다”고 쓰여 있고 전통 본초학 의서 『일화자제가본초』에는 “맛이 맵고 뜨거우며 독이 없다. 정을 북돋워 양을 왕성하게 하며 허리와 무릎을 따뜻하게 한다. 냉풍으로 인한 마비, 뼈마디가 약해진 증상, 풍습으로 피부가 가려운 증상 등을 치료한다”고 명시돼 있다.

중국 송나라 때 편찬된 의서 『본초연의』에는 “(침향은) 기를 보호하고 조화하는 상품약(上品藥)으로, 풍수종을 치료하고 나쁜 기운을 제거하며 치료되지 않는 나머지를 고친다”고 적혀 있다. 특히 중국 명나라의 약학자 이시진은 자신이 집필한 약학서 『본초강목』에서 “상부는 뜨겁고 하부는 차가운 증상, 기가 거슬러 숨이 차는 증상, 대장이 허하고 막힌 증상, 소변이 방울져 나오는 증상, 남자 정액이 찬 증상 등을 치료한다”고 적었다.

중국 남조 때 의약서인 『본초경집주』는 침향에 대해 기록된 초기 문헌인데, 여기엔 침향과 관련해 “풍수로 심하게 부은 것을 모두 치료하고 나쁜 기운을 제거한다”고 돼 있다.

역사와 연구가 효과와 가치를 증명하는 침향이지만 제품 선택 시엔 품질을 꼼꼼하게 따져봐야 한다. 침향의 경우 품질을 담보하는 규격의 수준이 높지 않다. 약전에 담긴 것이 거의 유일한데, 약전에서는 침향의 규격에 대해 건조 함량 8% 이하, 회분 2% 이하, 묽은 에탄올엑스 18% 이상, 납(5ppm)·비소(3ppm)·수은(0.2ppm)·카드뮴(0.3ppm) 등 중금속 함량 상향 기준 등만 규정하고 있다. 즉 최소한의 안전 기준인 셈이다. 따라서 침향 제품을 구입할 때는 약전 기준 외에 자체 기준과 별도의 품질관리 프로세스를 거치는지 확인된 제품을 구입하는 것이 좋다.

류장훈 기자 jh@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