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이슈 무병장수 꿈꾸는 백세시대 건강 관리법

하루 커피 3잔 이상 마셨더니, '이것' 확 낮추고 건강 챙겼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커피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채상우 기자] 하루에 3잔 이상의 커피를 마시는 사람이 2잔 이하로 마시는 사람보다 고혈압 위험이 낮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8일 이화여대 의대 하은희(환경의학교실)·편욱범(순환기내과) 교수 공동 연구팀은 2012~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9세 이상 1만 2133명(남 5303명, 여 6830명)을 대상으로 하루 중 커피 섭취량과 고혈압의 연관성을 분석해 이같은 결과를 도출했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연구 대상자를 하루 커피 섭취량에 따라 2잔 이하 그룹(9260명), 2잔 초과 그룹(2873명)으로 나눠 고혈압 유무를 살폈다. 성별로는 남성의 32%, 여성의 17%가 각각 하루에 2잔이 넘는 커피를 마시는 그룹에 포함됐다.

고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인 경우, 항고혈압 약물로 치료 중인 경우로 정의한다. 분석 시점을 기준으로 전체 대상자의 19.4%(2359명)가 고혈압 상태였다.

연구 결과 하루 커피 섭취량 3잔 이상 사람의 고혈압 위험이 2잔 이하로 마시는 사람보다 16%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나이가 많은 사람에게서 이러한 연관성이 두드러졌고 최대 24%까지 고혈압 위험이 낮아지는 것으로 관찰됐다.

앞서 국제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중 커피 섭취와 고혈압의 연관성을 둔 연구결과에서 연구 모델에 따라 다소 엇갈리는 결과가 도출된 바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커피 섭취로 인한 혈압 상승이 일시적 현상이라는 분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커피의 주요 성분인 카페인이 단기적으로는 교감 신경계 활성화,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 생산 증가 등의 부작용으로 혈압 상승을 부를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커피에 들어있는 풍부한 섬유질과 폴리페놀 등 주요 성분이 카페인에 의해 유발된 승압 작용에 대한 내성, 항염증 작용 등을 통해 이런 부작용을 상쇄하고 오히려 더 유익한 효과를 낸다는 것.

다만, 전문가들은 커피 섭취가 이미 발생한 고혈압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는 아직 없으며, 인지 못하는 부작용도 있을 수 있는 만큼 커피를 마시더라도 하루 3잔 이하로 제한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권고하고 있다.

해당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임상 고혈압’(Clinical hypertension) 최신호에 발표됐다.

123@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