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9 (화)

이슈 끝없는 부동산 전쟁

팬데믹 때 가계가 쌓아둔 돈 100조…집값 밀어올리는 복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은, 2020~2022년 초과저축 분석
최대 129조원…작년 GDP 6% 수준
소비 않고 대부분 예금·주식 보유
“경기둔화 때 소비 하방 완충 역할
부동산 유입되면 주택 가격 자극”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국내 가계가 적립한 초과저축이 최대 129조원에 이른다는 추산이 나왔다.

한국은행 조사국 동향분석팀의 박성하·조주연·오태희·김형지 과장, 이은송·이현지 조사역은 24일 ‘팬데믹 이후 가계 초과저축 분석 및 평가’ 보고서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방식 등을 원용해 2020~2022년 한국 가계의 초과저축 규모를 추산한 결과 101조~129조원 정도에 이른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팬데믹 이전의 추세를 웃도는 가계 저축액을 초과저축으로 정의했다. 팬데믹 기간 초과저축은 지난해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4.7~6.0%, 명목 민간 소비의 9.7~12.4% 수준이다.

소득계층별로 보면 전 계층에서 초과저축이 확대됐는데, 그중에서도 고소득층에서 가장 많이 증가했다. 팬데믹 이후 임시직보다 상용직의 정액 급여가 높은 오름세였고, 팬데믹 기간 호황을 누린 금융·정보기술(IT) 산업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특별급여가 많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보고서는 가계 초과저축이 늘어난 것에 대해 “팬데믹 직후에는 소비 감소가, 지난해에는 소득 증가가 크게 기여했다”고 말했다. 2020~2021년엔 물리적(사회적) 거리 두기 여파로 소비가 줄어 저축이 늘었고, 지난해엔 고용 호조, 임금 상승, 정부의 재난지원금 지급 등이 초과저축이 증가한 주요 원인이었다.

보고서는 한국 가계가 초과저축을 소비한 부분은 크지 않은 것으로 봤다. 지난해까지 소득이 양호했던 덕분에 저축을 쓸 필요가 없었다. 또 금리가 올라 은행 대출을 빨리 갚아야 할 유인이 커졌음에도 우리나라 가계는 초과저축으로 대출을 상환하지도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미국과 유로 지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21년 이후 낮아졌지만 한국은 팬데믹 기간 중 비율이 높아진 이후 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보고서는 이 때문에 “가계의 디레버리징(부채 축소)이 주요국보다 상대적으로 더딘 모습을 보인다”고 말했다.

가계는 소비와 부채 상환에 사용하지 않은 초과저축을 예금, 주식 등 금융자산의 형태로 보유 중인 것으로 추정됐다. 2020~2022년 가계의 금융자산은 1006조원 늘어나 직전 3개년(2017~2019년 591조원)과 비교해 증가 폭이 컸다.

초과저축이 있으면 경기 둔화 등으로 소득이 줄어도 기존의 소비를 지속할 수 있어 민간 소비의 하방 위험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초과저축이 완충 역할을 하는 셈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초과저축이 유동성 높은 금융자산으로 축적돼 있어 여건 변화에 따라 부동산 등 자산시장으로 빠르게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조주연 과장은 “가계의 초과저축은 대출과 함께 주택시장에 재접근하는 기회를 제공한다”며 “주택 가격 상승, 가계 디레버리징 지연 등으로 이어지면 금융안정에 부정적인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최희진 기자 daisy@kyunghyang.com

▶ 무슨 옷 입고 일할까? 숨어 있는 ‘작업복을 찾아라
▶ 뉴스 남들보다 깊게 보려면? 점선면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