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초중고 개학·등교 이모저모

"서초구 초등교사, 학기초부터 문제행동 학생 지도에 어려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교육부·서울교육청 합동조사…'연필사건' 학부모 폭언 여부 못 밝혀

서이초 교사 70% "월 1회 이상 학부모 민원·항의받아"

(서울=연합뉴스) 고유선 기자 = 지난 달 서울 서초구 서이초등학교에서 숨진 채 발견된 신규교사가 학기 초부터 학급 내 문제행동을 하는 학생의 생활지도로 어려움을 겪은 점이 교육당국의 합동조사에서 드러났다.

연합뉴스

슬픔에 잠긴 서이초 교사 추모객
(서울=연합뉴스) 류영석 기자 = 24일 서울 서초구 서이초등학교를 찾은 시민들이 고인이 된 교사 A씨를 추모하고 있다. 2023.7.24 ondol@yna.co.kr


숨진 교사는 담임학급의 학생들끼리 다툰 '연필 사건'과 관련해 학부모에게 개인 전화번호로 전화를 받았지만, 고인이 폭언을 들었는지 여부는 밝혀지지 않았다.

교육부와 서울시교육청은 7월 24일부터 이번 사건과 관련된 합동조사를 벌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 문제행동 학생 지도 어려움…'연필 사건' 학부모 폭언 여부 못 밝혀

합동조사단은 고인이 숨진 채 발견되기 엿새 전인 7월 12일 오전 수업 중 B학생이 A학생의 가방을 연필로 찌르자 A학생이 그만하라며 연필을 빼앗으려다 자신의 이마를 그어 상처가 생긴 '연필 사건'이 있었다는 점을 동료 교원 진술로 확인했다.

또한 사건 당일 학부모가 여러 번 고인에게 휴대전화로 전화했고, 고인은 자신이 알려주지 않은 휴대전화 번호를 학부모가 알게 된 사실에 대해 불안하다는 말을 동료 교원에게 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서울경찰청도 7월 12일부터 고인이 사망한 18일까지 학부모와 수차례 통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힌 바 있다.

합동조사단은 다만 "학부모가 고인의 휴대전화 번호를 알게 된 경위나 폭언을 했는지 여부 등은 경찰 수사를 통해 확인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합동조사단은 또한 고인이 학기 초부터 문제행동 학생으로 생활지도에 어려움을 겪었고, 학기 말 업무량이 많았다는 점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서이초가 사건 직후 낸 학교장 명의의 입장문 내용은 대부분 사실인 것으로 확인했다.

누리소통망(SNS)에서 떠돌던 의혹과 달리 고인이 담당한 학급은 올해 초부터 담임이 바뀐 사실이 없고, 1학년 담임 배정과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업무 역시 고인의 '1지망'이었다고 합동조사단은 밝혔다.

입장문 초안에 있던 '연필 사건' 내용이 학부모 요구로 최종본에서 빠졌다는 의혹과 관련해서는 학교가 아닌 교육청 요청으로 삭제됐다고 전했다.

'학급 내 정치인 가족이 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유명 정치인의 이름을 학교가 관리하는 기록(학부모 이름 등)과 대조한 결과 사실이 아닌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다음 생엔 교사하지 말아요'
(서울=연합뉴스) 류영석 기자 = 24일 서울 서초구 서이초등학교 교사 A 씨의 추모공간에 추모 메시지가 쓰인 메모지가 붙어 있다. 2023.7.24 ondol@yna.co.kr



◇ 서이초 교사들 "학부모 민원 대응, 부적응학생 지도 어려워"

이와 별도로 합동조사단은 서이초 교원 65명을 대상(41명 응답)으로 7월 27∼28일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70%가 월 1회 이상 학부모 민원과 항의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월 7회 이상 경험했다는 응답자도 6명이었다.

응답자의 49%는 교권침해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교사들은 또한 정서불안이나 품행장애 등 부적응 학생 지도를 위한 지원이 부족하다고 지적했고, 과밀학급 문제와 학부모의 지나친 간섭·막말에 대응하기가 어렵다고 응답했다.

이 때문에 교사들은 ▲ 출결 민원 전자시스템 도입 ▲ 학급당 학생 수 제한 ▲ 민원처리반 도입 ▲ 악성 민원을 교권 침해로 신고 ▲ 아동학대방지법 개정 ▲ 부적응 학생 지도를 위한 학부모 책임 강화 필요성을 언급했다.

장상윤 교육부 차관은 "교단에 선 지 얼마 되지 않은 새내기 교사의 죽음에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다시는 이러한 안타까운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학교 공동체의 목소리를 잘 듣고 실효성 있는 교권보호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cindy@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