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 등급 하향 등 논의
21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으로 최근 7일간 일평균 확진자는 4만355명이다. 직전 7일 일평균 확진자(4만9012명)보다 17.7%가량 감소했다. 지난주에 이어 2주 연속 줄었다. 확진자 1명이 몇명을 감염시키는지 나타내는 감염재생산지수(1 이상일 때 ‘유행 확산’ 의미)도 ‘1’ 아래로 떨어졌다.
고재영 질병청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지난 7주 동안 연속 증가하던 여름철 확산세가 감소세로 돌아섰고 유행이 둔화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국내에서 유행하는 코로나19 오미크론 XBB 계열 변이 바이러스의 치명률은 0.02~0.04%로 계절독감 치명률(0.03~0.07%)과 유사한 수준이라고 질병청은 설명했다.
해외에서 유행하는 신종 변이가 변수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 18일 기존 오미크론 변이(BA.2)보다 스파이크(돌기) 단백질 돌연변이 수가 30개 이상 많은 신종 하위변이 BA.2.86을 발견하고 감시대상에 추가했다.
정부는 자문위 논의 내용을 바탕으로 23일 오전 코로나19 중앙사고수습본부 회의를 열고 4급 전환 시점 등 관련 방역조치 조정 내용을 확정해 발표할 계획이다.
▶ 무슨 옷 입고 일할까? 숨어 있는 ‘작업복을 찾아라
▶ 뉴스 남들보다 깊게 보려면? 점선면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