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교권 추락

조희연 "9.4 집회 대응, 교육부-교육감협의회-교원단체-교사 4자 협의체 제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지난 26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국회 앞에서 전국교사일동이 연 '국회 입법 촉구 추모집회'에서 참가자들이 손팻말을 들고 있다.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박지숙 기자 = 서이초 교사의 49재일인 9월4일 교사들이 연가와 병가 등의 방식으로 추모 집회를 계획한 것과 관련, 교육부와 교사들 간 충돌 우려가 높아지는 가운데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협의체를 만들어 논의에 나서자고 제안했다.

조 교육감은 28일 서울시교육청을 통해 입장문을 내 "교육부와 시도교육감협의회, 교원단체, 그리고 9월4일 집회를 주관하는 선생님들이 한 데 모이는 4자 협의체를 조속히 구성할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서이초 교사 사망 후 매주 토요일 대규모 도심 집회를 이어가고 있는 교사들은 서이초 교사를 추모하고 교권 보호 법안 통과를 촉구하기 위해 9월 4일을 '공교육 멈춤의 날'로 정해 서이초와 국회 앞에서 오전 10시부터 추모 집회를 열 계획임을 밝혔었다. 조 교육감을 비롯해 최교진 세종시교육감 등이 지지 의사를 밝혔다.

하지만 교육부가 교사들의 이같은 움직임이 "불법 집단행동"이라며 거듭 법과 원칙에 따른 엄정 대응을 경고하자, 9.4 집회를 추진해온 운영진은 전날(27일) 인디스쿨에 올린 글에서 집회를 취소한다고 밝혔다. 또 '공교육 멈춤의 날'을 공교육 정상화의 날로 변경했다.

현재 8만명 이상의 교사들이 9월4일 집단행동에 서명한 상태이지만 교사들 내부에서도 이견이 엇갈리고 있다.

이에 조 교육감은 "공교육을 바로 세우자는 의지는 중앙정부와 교육청에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입장과 방식이 다른 점이 있다면, 그 차이를 해소하는 방식은 교육적이어야 한다. 4자 협의체를 통해 다양한 입장의 공통분모를 만들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다만 조 교육감은 교육부가 '불가' 입장을 밝힌 9월 4일 재량휴업이나 연가 등에 대해 입장을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그는 4자 협의체에서 △교원 보호 방안 △서이초 교사 사망원인 진상규명 △교육활동 보호 관련 법 개정 △교육부·교육청 계획에 학교 현장 요구 반영을 위한 대책 등도 함께 논의하자고 제안했다.

조 교육감은 "학교에선 교육공동체의 마음이 9월4일 하나 돼 전해지도록 학교 상황에 맞게 함께 추모해달라"고 요청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날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조 교육감의 제안에 대해 "9월4일이면 일주일이 남았기 때문에 교육청과 대화하고 협력하며 이 문제를 풀어나갈 예정"이라고 답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