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라임자산운용 환매 중단 사태

서유석 회장, 라임펀드 사태에 "환매 권유는 증권사의 정상적 역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사진=금투협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이 미래에셋증권의 라임펀드 특혜 환매 의혹과 관련해 입을 열었다. 그는 최근 라임펀드 환매중단 사태 직전 미래에셋증권이 현직 민주당 국회의원이 속한 펀드의 고객들에게 환매를 권한 논란에 대해 "커넥션이 있었다면 모를까, 판매사인 증권사는 선량한 관리자의 의무를 행한 것으로 생각된다"고 밝혔다.

서유석 회장은 29일 여의도 금융센터 기자실을 방문해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최근 금융감독원의 미래에셋증권 라임펀드 환매 재조사와 관련 "펀드 판매사인 증권사 입장에서는 상품의 리스크에 대해 항상 관심을 가지고 관리해야 한다"며 "위험이 감지됐다면 선량한 관리자의 입장에서 당연히 펀드를 환매하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미래에셋증권 이슈과 별개로 금융상품 판매사라면 적당한 수익이 난 펀드나 문제가 발생한 펀드의 환매를 권유하는 것은 '정상적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지금은 특혜인지 아닌지 사실관계를 알 수 없으므로 협회가 입장을 밝힐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고 했다. 다만 판매사(증권사)와 운용사 간 고객 정보가 공유되지 않는 내부통제 기준 등을 철저히 지킨 정상 펀드 관리 상황에서는 환매 권유가 자연스러운 상황이라는 것이다.

김상희 더불어민주당 의원 가입 펀드 환매 건에 대해선 "어떤 관계가 있고, 무슨 정보가 있는지 전혀 모르며 따라서 특혜인지도 (협회 입장에서는) 알 수는 없다"고 선을 그었다.

또 회원사인 증권사 최고경영자(CEO)들이 라임 사태로 징계 위기에 놓인 것에 대해서는 "금감원 제재심은 끝났고 금융위원회 심의 중이라 내용을 봐야 할 것 같다"며 "이미 제재 사유가 돼서 올라갔는데 (결과가) 나와봐야 알 것"이라고 했다.

한편 그는 이날 공모펀드 시장 부활을 위해 액티브 공모펀드를 직상장하는 방향을 빠르게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서 회장은 "지금은 공모펀드가 ETF로 상장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추종지수가 있어야 하는데, 우리는 가능한 빠르게 공모펀드를 직상장하는 방안을 운용사 및 업계와 논의하고 있다"며 "공모 액티브 펀드를 직상장하거나 공모펀드의 클래스 중 '상장 클래스'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ETF화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말했다.

오정은 기자 agentlittle@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