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끝나지 않은 신분제의 유습 '갑질'

교육부, 중앙징계위에 '교사 갑질 논란' 사무관 중징계 요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부당한 교육활동 간섭·사회적 물의"…최대 파면까지 가능

실제 징계까지 시간 걸릴 듯…교육부 행동강령 개정키로

연합뉴스

교육부 앞에 놓인 추모화환들
서울의 한 초등학교 교사가 교내에서 극단적 선택을 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망 경위를 둘러싸고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지난 7월 20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앞에 각 교원단체에서 보낸 추모 화환들이 놓여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 교육부가 최근 자녀의 초등학교 담임 교사에게 '갑질'을 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사무관에 대해 중징계 의결을 요구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31일 보도 참고 자료를 내고 교육부 소속 공무원 A씨에 대해 품위 유지 위반으로 인사혁신처 중앙징계위원회에 중징계 의결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A씨는 지난해 10월 19∼21일께 초등학생 자녀의 담임 교사 B씨를 경찰서와 지방자치단체 등에 아동학대 혐의로 신고하고, 국민신문고로 관할 교육청에 진상 조사와 엄중 처벌을 요구했다.

A씨는 또 교장을 면담하면서 담임 교사 교체도 요구했다. 결국 담임 교사는 C씨로 교체됐고, B씨는 직위 해제 처분을 받았다.

A씨는 교체된 담인 C씨에게 "'하지 마, '안돼' 등 제지하는 말은 절대 하지 않는다", "왕의 DNA를 가진 아이이기 때문에 왕자에게 말하듯이 듣기 좋게 돌려서 말해도 다 알아듣는다" 등 자녀를 지도할 때 지켜야 할 수칙을 공직자 통합 메일로 보내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B씨는 올해 2월과 5월 경찰과 검찰에서 아동학대와 관련해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 경찰에서 무혐의 처분을 받은 2월 이후 복직한 상태다.

교육부는 "해당 직원은 교육활동 보호에 앞장서야 하는 교육부 공무원임에도 학교 등에 과도한 요구로 정당한 교육 활동을 부당하게 간섭해 교권을 침해했다"고 설명했다.

또 "자신의 요구가 수용되지 않으면 언론에 유포하겠다는 취지의 발언을 하는 등 부적절한 언행으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켜 교육부 정책에 대한 신뢰성을 저하한 책임이 있다"고 덧붙였다.

A씨가 C씨에게 자녀를 지도할 때 지켜야 할 수칙을 메일로 보내고, 교장·교감에게 B씨를 교체하라고 요구한 것이 교권 침해 행위로 볼 수 있다는 뜻이다.

A씨가 국민신문고를 통해 교육감에게 진상 조사를 요구하고, 이를 지키지 않을 경우 언론에 유포하겠다고 언급한 점 역시 교육부는 징계 근거로 삼았다.

연합뉴스

고인을 추모하며
서울의 한 초등학교 교사가 교내에서 극단적 선택을 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망 경위를 둘러싸고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20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앞에 교사라고 밝힌 시민이 고인을 추모하고 있다. 건너편엔 각 교원단체에서 보낸 추모 화환들이 놓여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다만 애초 알려진 바와 달리 A씨는 공직자 통합 메일을 사용한 것 외에 자신이 교육부 직원임을 학교 측에 직접 알리지는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교육부는 설명했다.

A씨는 앞으로 30일 이내에 감사 처분에 대해 재심 요구를 할 수 있다. 재심 요구가 없을 경우 중앙징계위원회 의결을 거쳐 징계를 받게 된다.

중징계는 파면, 해임, 강등, 정직 등으로 나뉜다.

교육부 관계자는 "중앙징계위원회에 사안이 밀려 있어 (징계까지) 얼마나 걸릴지 모른다"면서 "중대한 사안일 경우 징계 조치를 앞당길 수는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중앙징계위원회에서 징계 수준이 경징계로 내려갈 가능성에 대해서도 "위원들이 결정할 사안이어서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한편 교육부는 소속 공무원의 교권 침해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이 같은 사례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교육부 공무원 행동 강령' 개정에 나설 예정이다.

교육부 공무원이 자녀 등을 지도하는 교원에 대해 '교육활동을 침해하는 행위'와 '직무와 관련이 없거나 직무 범위를 벗어난 부당한 지시·요구를 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내용이 포함될 전망이다.

행동강령 개정은 관계부처 협의, 행정 예고 등을 거쳐 확정된다.

porque@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