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1 (화)

이슈 증시와 세계경제

中증시 빠져나가는 글로벌 자금…'제로코로나' 작년 10월 수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 "중국, 2040년대 美 제치지만 유지 못할 것"

연합뉴스

중국 상하이에서 증시 시황판 앞의 행인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차병섭 기자 = 글로벌 자금의 중국 주식 매도세가 이어지면서 이들의 투자 포지션이 '제로코로나' 당시인 지난해 10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내려간 것으로 6일 전해졌다.

블룸버그통신은 투자은행 모건스탠리의 분석을 근거로 자산가치 상승에 베팅하는 롱-온리 전략을 구사하는 세계 펀드매니저들의 투자 포지션이 제로코로나 해제 기대감에 따른 작년 연말 증시 랠리 이전 수준으로 낮아졌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외국인 투자자가 지난달 선강퉁·후강퉁 등을 통해 중국 본토 주식을 매도한 규모는 900억 위안(약 16조4천억원) 정도로, 블룸버그 집계에 따르면 2016년 이후 최대였다.

이달 들어서는 4일 미 증시 휴장 속에 중국의 부동산 부양책 및 부동산개발업체 비구이위안 우려 완화 등으로 매수세가 들어왔지만, 서비스 구매관리자지수(PMI) 부진 속에 5일 다시 매도로 돌아선 상태다.

길버트 웡을 비롯한 모건스탠리 전략가들은 "중국 투자 비중 축소가 펀드들 사이에 일치된 견해임을 보여준다"면서 "8월 중국·홍콩 주식에 대해 액티브 롱-온리 전략을 구사하는 펀드매니저들의 자금 순유출 규모가 7월의 2배였다"고 평가했다.

다만 중국 증시 지수의 하락이 과도한 만큼 저가 매수에 나서겠다는 투자자들도 여전히 존재하며, 중국 기술기업들의 실적 전망치도 올라가는 추세다.

금융서비스업체 레일그룹의 펀드매니저 루카 카스톨디는 중국 정부의 부양 의지를 근거로 기술주·소비주를 중심으로 중국에 대한 익스포저(위험노출액)를 늘리기 시작할 때라고 말했다.

한편 블룸버그 산하 경제연구기관인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둔화를 근거로 중국 경제가 미국을 추월해 세계 1위가 되는 시기가 종전 예상보다 늦춰질 뿐만 아니라 1위를 지키기도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중국 경제가 당초 예상됐던 2030년대 초반보다 늦은 2040년대 중반 미국을 추월해 세계 1위가 될 것으로 보이며, 1위에서 내려올 때까지 미중간 경제 격차가 소폭에 그칠 것이라는 견해다.

BE 측은 국내총생산(GDP) 기준 중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을 2030년 4.3%에서 3.5%로, 2040년 3.4%에서 2.8%로, 2050년 1.6%에서 1%가량으로 각각 낮춰잡았다.

또 "중국이 예상보다 일찍 성장 둔화 국면으로 가고 있다"면서 "부동산 경기 둔화 심화와 중국 당국의 경제관리에 대한 신뢰 저하 속에 위드코로나 경기 반등이 힘을 잃었다. 신뢰 저하가 굳어지면서 잠재성장률을 계속 낮출 위험이 있다"고 봤다.

bscha@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