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화웨이 밀어주기?…中, 공무원에 “애플폰 쓰지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中정부, 정부기관에 아이폰 등 사용금지 지침 내려

"해외 기술 의존 낮추고 사이버 보안 강화 위한 조치"

美 틱톡 사용금지 대응·화웨이폰 사용 독려 분석도

애플 주가 3.6% 급락…"中매출 19% 달해"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중국이 정부기관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아이폰 등 외국산 브랜드 스마트폰 사용을 금지했다. 국가안보 보호 전략의 일환인 동시에, 미국의 틱톡 사용 금지에 따른 대응, 화웨이 밀어주기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데일리

중국 베이징에 위치한 애플스토어. (사진=AF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6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공무원들은 최근 몇 주 동안 직장 상사 또는 직장 내 채팅그룹 등을 통해 아이폰 및 기타 외국산 브랜드의 스마트폰을 업무에 사용하지도, 출근시 사무실에 가져오지도 말라는 지침을 하달받았다”고 보도했다.

WSJ은 “중국 정부가 각 정부기관에 지시한 데 따른 조치로 얼마나 광범위하게 명령이 퍼졌는지 불분명하지만, 일부 규제기관 직원들에게도 유사한 지침이 내려졌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관련 지시를 받은 중국 국무원 신문판공실, 국가공무원청과 애플 등이 논평 요청에 응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중국 정부의 이번 조치는 외국 기술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사이버 보안을 강화하겠다는 기존 정책 기조에 따른 것으로 파악된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미국과의 패권다툼이 심화한 이후 국가안보를 지속 강조해 왔다. 이에 따라 중국 정부는 2021년 군인과 주요 국영기업 직원들에게 테슬라 차량 사용을 제한했고, 지난해에도 정부 기관 및 국영 기업들에 2년 안에 외국산 PC를 중국산으로 교체토록 지시했다.

소식통은 “중국 정부는 안보 등을 이유로 수년 동안 일부 기관 공무원들이 업무에 아이폰을 사용하는 것을 제한해 왔지만, 이제는 그 명령이 확대되고 있다”며 “이번 명령은 중국 정부가 자국의 (안보) 규정을 엄격하게 시행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한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미국에서 틱톡 사용 금지를 추진하는 데 따른 대응 조치라는 해석도 있다. 미 정부 및 의회는 틱톡을 통한 데이터 유출을 우려하고 있으며, 일부 주정부는 국가안보 위협 등을 이유로 틱톡 사용을 전면 금지했다.

이외에도 중국 기술로 5G 스마트폰을 선보인 화웨이 제품 사용을 독려하기 위한 조치라는 분석이 나온다. 조지 W 부시와 버락 오바마 전 정부 시절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중국 담당 국장을 역임한 폴 헨레는 이번 조치에 대해 “국가안보 우려뿐 아니라 경제에 대한 우려도 (중국 정부에) 동기를 부여한 것 같다”고 말했다. 자국산 제품들의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의도가 반영됐다는 설명이다.

소식이 전해진 뒤 이날 애플 주가는 전일대비 3.58% 급락했다. 시가총액도 2조8600달러로 줄어 3조달러 밑으로 떨어졌다. 중국은 애플의 최대 시장 중 한 곳으로, 하이엔드 시장에서 약 20%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애플 전체 매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도 19%에 달한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