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수출통제 유예’ 연장 앞두고 돌발변수
외신 “D램·낸드플래시 나와”
하이닉스 “제재뒤 거래 안해”
미-중 스마트폰 전쟁 격화
中, 국영기업 아이폰 금지
외신 “D램·낸드플래시 나와”
하이닉스 “제재뒤 거래 안해”
미-중 스마트폰 전쟁 격화
中, 국영기업 아이폰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중 반도체 갈등이 다시 첨예한 국면으로 접어든 가운데 중국 화웨이가 최근 내놓은 최신형 스마트폰에서 SK하이닉스가 만든 메모리 반도체가 발견됐다. SK하이닉스는 미국측 수출통제 조치를 어기고 화웨이에 제품을 공급한 것이 전혀 아니라고 해명했지만 자칫 엉뚱한 ‘불똥’이 튈까 우려가 나온다. 한국 기업들에 대해 반도체장비 수출통제 유예조치를 연장해줄지 여부가 다음 달 결정되기 때문이다.
미 블룸버그통신은 반도체 컨설팅업체 테크인사이트에 의뢰해 화웨이의 ‘메이트 60 프로’를 해체해본 결과 SK하이닉스의 스마트폰용 D램인 ‘LPDDR5’와 낸드플래시가 포함된 것으로 파악됐다고 7일 보도했다.
테크인사이트는 화웨이 스마트폰에서 자사 부품이 발견된 유일한 글로벌 업체가 SK하이닉스라고 분석했다.
그러자 SK하이닉스는 이날 “화웨이에 대한 미국의 제재 조치가 도입된 이후 화웨이와 더 이상 거래하지 않고 있다”고 적극 해명했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화웨이 신제품에 당사의 메모리 칩이 쓰였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곧바로 미 상무부 산업안보국에 신고했고, 경위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에 들어갔다”고 덧붙였다.
이어 “SK하이닉스는 미국 정부의 수출규제 조치를 철저히 준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화웨이 ‘메이트 60 프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화웨이의 최신 프리미엄 스마트폰인 ‘메이트 60 프로’에 중국 SMIC에서 자체 생산한 7nm 공정 프로세서가 내장된 것을 두고도 논란이 커지고 있다. 백악관은 대중 반도체 수출통제 ‘그물망’이 뚫렸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제이크 설리번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중국과의 디커플링(탈동조화)가 아니라 국가 안보를 위해 좁은 범위에서 강력한 제재를 지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미국 정부는 지난해 10월 중국에 첨단 반도체 장비 반입을 금지하는 규제를 발표했다. 중국에 공장을 두고 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1년 유예 조치를 받고 10월까지 시간을 벌었다.
이후 한국 정부는 미국 측과 해당 조치를 연장하기 위한 협상을 해왔다. 업계에서는 유예 조치가 연장될 가능성에 무게를 싣고 있었다. 하지만 중국의 최신 스마트폰에서 한국 메모리 반도체가 발견되면서 미측에 빌미를 마련해 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중국은 아이폰 사용을 규제하면서 맞대응을 하기 시작했다. 중국이 중앙정부 공무원에 이어 국영기업 직원들에게도 애플 아이폰 사용을 금지시킨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정부와 애플간 오랜 협력 관계를 고려하면, 아이폰 금지는 매우 강경한 조치라는 해석이 나온다. 애플은 전체 매출의 19%를 중국 시장에 의존하고 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