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주목 받는 아세안

尹 "인니와 지난해 교역액 260억달러…인태 지역 핵심 협력국"(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원전·핵심광물 협력 강화…아세안 참석 계기 16건 MOU·계약 체결

"비즈니스에 국경도, 국적도 없다"

(자카르타=연합뉴스) 안용수 정아란 기자 = 한국과 인도네시아가 윤석열 대통령의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원전 건설과 핵심광물 공급망 강화 등에서 협력을 강화키로 했다.

윤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오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한 호텔에서 열린 '한·인도네시아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BRT)'에 참석해 양국 경제협력 성과를 평가하고, 새로운 50년을 위한 파트너십 발전 전략을 제시했다고 대통령실이 밝혔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동아시아 정상회의 참석
(자카르타=연합뉴스) 진성철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컨벤션 센터(JCC)에서 열린 동아시아 정상회의(EAS)에 참석하고 있다. 앞쪽은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 2023.9.7 [공동취재] zjin@yna.co.kr



윤 대통령은 "양국 관계는 수교 50년 만에 괄목할만한 발전을 이뤄왔다"며 "지난해 세계 경제가 어려운 가운데 양국 교역액은 260억 달러까지 확대됐으며, 인도네시아에서 활동하는 기업이 2천개가 넘는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아세안 정상회의에서 자유, 평화, 번영의 3대 비전을 핵심으로 하는 한·아세안 연대구상과 인도·태평양 전략을 발표했다"며 "우리의 아세안, 인도·태평양 전략의 핵심 협력국이 바로 인도네시아"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인도네시아와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의 토대 위에 새로 50주년을 위한 파트너십을 모색해야 한다"며 "전기차, 배터리 등 첨단산업을 주도하는 한국 기업과의 협력 잠재력이 매우 크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양국의 청년 기업인을 언급한 뒤 "여러분의 비즈니스에는 국경도 없고, 국적도 없다"며 "해외로 나가는 우리 청년, 우리에게 오는 외국 청년에 전폭적인 지원을 할 것"이라고 격려했다.

그러면서 '무거워도 함께 지고, 가벼워도 같이 든다'는 인도네시아 속담을 인용, "지난 50년간 어려운 일 있을 때나, 기쁠 때나 함께 해 온 양국 관계를 잘 표현하는 말"이라고 양국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윤 대통령의 BRT 참석을 계기로 원전, 핵심 광물, 신도시 건설 등 16건의 양해각서(MOU)와 계약이 체결됐다.

연합뉴스

한·인니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 축사하는 윤석열 대통령
(자카르타=연합뉴스) 임헌정 기자 = 인도네시아를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자카르타 한 호텔에서 열린 한·인도네시아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서 축사하고 있다. 2023.9.7 kane@yna.co.kr


분야별로는 ▲ 원전(원자력 산업 협력 MOU) ▲ 모빌리티(모빌리티 운영 협력 MOU·전기이륜차 생산기반 구축 협력 MOU) ▲ 핵심 광물(핵심광물 공동연구센터 설립 MOU·핵심광물 공급망 및 기업 투자 촉진 협력 강화 MOA) ▲ 자원재활용(순환경제를 위한 화이트바이오 산업협력 MOU) ▲ 전력·청정에너지(배출저감 및 친환경 플랜트 전환 협력 MOU, 그린 암모니아 공급망 공동개발 협력 MOU, 해양 폐광구 활용 탄소저장사업 협력 MOU·변압기 제조 합작법인 계약·전력기기 사업 협력 MOU) ▲ 산업(뿌리산업 인력양성 MOU·건설기계 사업 협력 MOU·아세안 패션유통산업 시장 확장 협력 MOU) ▲ 보건·정책(국립 응우라병원 위탁운영 계약·아세안 문제연구 협력 협정) 등이다.

한국 측에서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구자은 LS그룹 회장을 포함한 기업인 19명이, 인도네시아 측에서 알샤드 라스지드 인도네시아 상의 회장 등 기업인 17명과 루훗 판자이탄 해양투자조정부 장관, 부디 사디킨 보건부 장관이 참석했다.

aayyss@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