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주목 받는 아세안

'고약한 냄새'에 빠진 중국인들 싹쓸이…'황제과일' 세계판매 400% ↑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중국인들 사이에서 '과일의 황제'라 불리는 두리안이 인기다. 영양가가 높고 코코넛 워터, 체리 등을 제치고 중국인들의 부의 상징으로 떠오른 이유다. 중국인들 덕에 세계 두리안 판매가 전년 동기보다 400% 급증했다는 조사 결과도 나왔다.

8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의 보도에 따르면 세계적 투자은행 HSBC는 지난 4일 보고서에서 지난 2년간 60억달러(약 8조원) 규모의 두리안을 수입한 중국이 세계 두리안 수요의 91%를 차지한다고 밝혔다.

HSBC는 세계로 수출되는 두리안의 약 90%가 10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에서 생산되며 이는 7년 전의 60%보다 늘어난 수치라고 설명했다.

또 HSBC는 올해 1분기에 두리안 판매가 전년 동기대비 400% 크게 늘었다고 밝혔다. 이어 아세안 두리안 수출의 99%는 태국이 차지하고 있으며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가 중국 수출 경쟁에 뛰어들었다고 덧붙였다. 동남아시아 수출업체들은 더 많은 두리안을 판매하기 위해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기대를 걸고 있는 상황이다.

고급 열대 과일 두리안은 '천국의 맛과 지옥의 냄새'를 가진 과일로 불린다. 냄새가 지독한 탓에 일부 호텔에서는 두리안 취식을 금지하는 곳도 있다.

하지만 최근 중국에서는 두리안이 영양가가 높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신혼부부, 약혼자, 심지어 시어머니를 위한 선물로 인기다. 두리안은 영양가가 높은 과일이란 인식 외에도 부자들이 먹는 과일이란 지위도 얻었다. 고민하지 않고 비싼 체리를 덥석 살 수 있다는 뜻으로 쓰이는 '체리 프리덤(cherry freedom)'이 이제는 '두리안 프리덤'으로 대체되는 분위기다.

'세금 인하'도 두리안의 인기를 부채질한다. 중국과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10개 회원국 간에 체결된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에 따라 세금이 인하되고 세관 절차가 간소화되면서 베이징, 상하이 뿐만 아니라 소규모 도시들까지도 두리안이 급속하게 퍼지고 있다.

중국의 두리안 사랑은 수입을 넘어 직접 재배로까지 손을 뻗쳤다. 올해는 처음으로 중국에서도 두리안이 생산된 것. 남중국해의 휴양섬 하이난성의 약 93만3000㎡ 면적 농장에서 재배한 두리안이 지난 7월 본격적인 수확에 들어갔다.

한편 두리안은 아욱목 아욱과의 상록교목 열매로 인도, 미얀마, 말레시아 등의 열대우림 지역에서 서식하는 동남아시아 열대과일이다.

원래 이름은 말레이어로 뾰족한 가시라는 '두리'에서 유래했다. 열매 무게는 종류에 따라 대체로 1.5~9㎏ 사이다. 크기는 30-45㎝ 정도로 종류에 따라 맛과 크기가 다른데 지난해 기준 말레이시아 농업부에는 204종의 두리안이 등록됐다.

칼륨, 비타민, 식이섬유이 풍부하다. 하지만 100g당 열량은 133kcal로 높은 편이라 과도하게 먹으면 고혈압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구경민 기자 kmkoo@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