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주목 받는 아세안

“소국~대국 순서냐”..윤 대통령 ‘한·일·중’ 순서 발언에 중국이 보인 반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서울신문

윤석열 대통령이 한국, 일본, 중국 순서로 언급한 것이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 화제다. 과거 한중일 순서로 발언했던 것에 변화가 있었다는 지적하는 네티즌들은 이러한 변화에 대해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는 분위기다. 출처 바이두 캡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아세안 3국 정상회의에 참석해 ‘한국, 일본, 중국’ 순서로 언급한 것이 중국에서 연일 뜨거운 화제다.

7일 중국 관영 환구망 등 현지 매체는 윤 대통령이 아세안(ASEAN·동남아국가연합)+3(한일중) 정상회의에 참석해 기존의 ‘한·중·일’ 순서로 언급했던 것을 변경해 ‘한·일·중’ 순서로 발언해 이전과 다른 입장을 보인 것을 집중 보도했다.

실제로 당시 윤 대통령은 이날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아세안+3 정상회의 모두 발언 중 “한국, 일본, 중국 3국 협력의 활성화는 아세안+3 협력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발판이 될 것”이라고 한국, 일본, 중국 3국의 협력 활성화를 거듭 강조했다.

또 그는 “이른 시일 내에 한일중 정상회의를 비롯한 3국 간 협력 메커니즘을 재개하기 위해 일본, 중국 정부와 긴밀히 소통해 가고자 한다”고 덧붙여 발언했다.

해당 발언이 현지 매체와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보도되자 현지 네티즌들은 ‘윤 대통령이 일본을 중국 앞에 뒀다’는 내용과 제목의 뉴스를 공유하며 화제성이 이어지는 양상이다.

현지 네티즌들의 반응도 뜨겁다. 이날 오후 6시 기준 중국 최대 규모의 포털사이트 바이두 인기 검색어에 해당 내용이 7위에 링크됐으며, 조회수는 무려 440만 건을 넘어선 것으로 확인됐다.

자신을 광둥성 출신이라고 소개한 한 익명의 네티즌은 “한국 대통령이 한국, 일본, 중국 순서로 이야기 한 것은 작은 것에서 시작해 큰 것으로 가는 순서였을 것”이라면서 “하지만 중국은 중국, 일본, 한국 순서로 큰 것에서 작은 것으로 가는 내림차순으로 이야기 한다”고 했다.

또 다른 네티즌 역시 “작은 것에서 점점 큰 순서로 말한 것이니 문제될 것이 없다”면서 “하지만 지금의 한국 상황을 보면 일본, 한국, 중국이라고 말하는 것이 더 합리적으로 보인다. 한국은 너무나 친일적이다. 일본을 향해 꼬리를 흔드는 것 같다”고 했다.

반면 일부 네티즌들은 “한국 대통령이 어떤 순서대로 언급하든 그건 그 나라의 일”이라면서 “하나 하나 다 꼬투리를 잡아 지적하면 오히려 남의 나라 일을 침해하는 것이 된다. 지나친 관심은 자칫 간섭이 될 수 있다”고 반응했다.

임지연 통신원 cci2006@naver.com



    ▶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 [페이스북]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