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2 (화)

이슈 연금과 보험

“차라리 청년도약계좌 가입”… 디딤돌 저축보험 흥행 위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비즈

일러스트=이은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직장인 A(32)씨는 한화생명이 디딤돌 저축보험을 출시했다는 소식을 듣고 고민에 빠졌다. 디딤돌 저축보험과 정부가 시행하는 ‘청년도약계좌’ 모두 5년 동안 목돈 5000만원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이 똑같아 어떤 걸 가입해야 할지 몰랐기 때문이다. 하지만 A씨가 청년도약계좌를 선택하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디딤돌 저축보험과 달리 청년도약계좌에는 비과세 혜택이 있기 때문이다. A씨는 “서로 비슷한 조건이라면 비과세가 가장 큰 매력인 것 같다”고 했다.


한화생명이 금융 당국의 ‘상생 금융’ 주문에 5년간 확정금리 연 5%의 저축성 보험을 내놨으나 가입 대상자인 청년들의 외면을 받고 있다. 보험 특성상 가입자는 사업비를 내야 하는데, 세제혜택이 없어 실제 금리는 연 4% 초반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현재 가입이 가능한 청년도약계좌와 비교해 별다른 장점이 없다.

12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한화생명의 ‘2030 디딤돌 저축보험’ 매출액은 출시 8일 만인 지난달 29일 기준 2500만원을 넘겼다. 가입자 모두 월 최대 납입금 75만원을 냈다고 가정하면, 하루 평균 3~4건이 팔린 셈이다. 비슷한 조건인 청년도약계좌가 지난 6월 출시 이틀 만에 가입자 수 16만명을 돌파한 것과 비교하면 인기를 끌지 못한 것이다.

디딤돌 저축보험은 5년 동안 연 5%의 확정금리를 제공한다. 보험기간 중 결혼하면 0.5%, 자녀 1인 출산 시 0.5%, 추가로 자녀 1인 출산 시 1% 등 최대 2%의 보너스를 지급한다. 한화생명은 추가 혜택 없이도 매월 75만원을 납입하면, 만기 환급률은 110%로 최대 5000만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디딤돌 저축보험의 실제 금리는 5%에 훨씬 못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월 75만원으로 5년간 정기적금에 가입한다고 가정하면, 비과세로 5000만원을 받기 위한 연 이자율은 4.3% 수준이다. 특히 비과세 혜택이 없다는 점도 큰 단점이다. 월 적립성 저축보험이 비과세 혜택을 받으려면 5년 이상 납입하고, 10년 이상 유지해야 한다. 5년 만기인 디딤돌 저축보험은 비과세가 적용되지 않는다.

게다가 저축보험 특성상 ‘사업비’가 발생한다는 점도 가입을 꺼리는 이유 중 하나다. 보통 보험료 1만원을 내면 보험사가 1000원을 사업비로 사용하고, 나머지 9000원을 운용한 뒤 이자 등을 가입자에게 지급하는 방식이다. 결국 세금과 사업비 등을 고려하면 디딤돌 저축보험의 실제 금리는 4% 초반에 불과하다는 게 보험업계 중론이다. 반면 청년도약계좌는 고정금리 4.5%에 각종 우대금리를 합치면 최고 6%다. 저소득층에만 해당되는 ‘소득 우대금리’와 ‘주거래 우대금리’ 등 조건 일부를 충족하지 못한다 해도 금리는 5% 수준이다.

조선비즈

서울 중구 T타워 내 청년도약계좌 비대면 상담센터에서 상담사가 청년도약계좌 상담을 하고 있다./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여기에 월 2만~2만4000원의 정부기여금이 제공되고, 이자에 대한 비과세 혜택도 적용된다. ‘5년 만기 5000만원’이라는 결과가 같다면, 월 75만원을 납입하는 디딤돌 저축보험보다 월 70만원을 내는 청년도약계좌를 선택할 가능성이 크다. 가입 후 5년 사이 결혼과 자녀 출산으로 추가 혜택 1~2%를 받지 못하면 디딤돌 저축보험을 선택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한화생명은 9월 15일부터 온라인에서 디딤돌 저축보험을 판매한다. 현재는 보험 설계사가 대면으로만 판매하고 있다. 보험업계 한 관계자는 “‘디딤돌 저축보험이 금융 당국 압박에 따른 상품이 아니다’라고는 말할 수 없을 것”이라며 “그동안 저소득층·다문화 가정 등 소외계층을 위한 상품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금융 당국이 강조하다 보니 조명이 된 것”이라고 했다.

이학준 기자(hakjun@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