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이슈 라임자산운용 환매 중단 사태

"라임 잘랐더니 스티로폼 잔뜩"…페루서 가격폭등하자 사기 기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지난 6일(현지시간) 페루 리마 시장에 쌓인 라임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멕시코시티=연합뉴스) 이재림 특파원 = 최근 남미 페루에서 가짜 과일을 만들어 소비자를 등치는 사기 범행이 잇따라 발생해, 당국이 조사에 나섰다.

14일(현지시간) 페루 일간지 엘메르쿠리오와 라레푸블리카 등에 따르면 올해 산로렌소와 치라 지역 등 라임 주 생산지에 내린 잦은 폭우가 작황 부진으로 이어지면서, 라임 가격 상승을 부추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기준 1㎏당 라임 소매가는 수도 리마 17솔(6천80원), 남부 아레키파 20솔(7천160원) 등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2∼3개월보다 2배 이상 오른 것이라고 현지 매체는 보도했다. 치클라요와 트루히요의 경우 최대 4배까지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페루 통계청은 "최근 3개월 간 라임 가격이 최대 70% 상승했다"며, 이는 전체적인 물가 상승 압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싼값의 라임을 찾아 온라인 직거래를 시도하는 사례가 점점 늘고 있는 가운데 이와 관련한 사기 행각도 지속해 보고되고 있다.

한 주민은 지난 4일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가짜 라임 판매상을 고발하는 영상을 올렸다. 해당 영상 속 라임으로 보이는 물체에는 반으로 갈랐을 때 안에 하얀색 스티로폼 가루가 잔뜩 들어 있었다.

다른 시민은 아예 딱딱한 녹색 플라스틱 공 같은 물건을 택배로 받은 영상을 소셜미디어에 게시하기도 했다.

산마르틴 데포레스 지역 한 레스토랑 주인은 "자루에 든 라임을 한 무더기 구입했는데, 어린이 주먹만 한 값싼 녹색 사과가 섞여 있었다"고 말했다. 그 역시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관련 사안을 공유했다.

일부 업자는 이웃 나라인 콜롬비아에서 라임을 밀반입해 팔고 있는데, 이는 라임 농가에 치명적일 수 있는 '황룡 병'을 유행시킬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소비자 보호 분야 전문가인 후안 냐우에 변호사는 엘메르쿠리오 인터뷰에서 "주로 온라인 구매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런 문제는 시중보다 낮은 가격을 제시하며 피해자를 현혹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며 "직거래를 되도록 피하는 한편 안전한 공급업체를 확인할 수 있는 곳에서 구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페루 당국은 관련 사안에 대해 조사하고 있다고 현지 매체는 전했다.

한편, 라임 가격 상승 추이는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산로렌소 지역 라임 농가 대표인 엘베르 비에라는 라레푸블리카 인터뷰에서 "연말까지 라임 소비자 가격은 고공행진을 할 것"이라며 11월 전후에 가격이 정상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상큼하면서도 신맛을 내는 대표적인 과일인 라임은 많은 페루 요리에 빠지지 않고 들어가는 재료 중 하나다. 특히 해산물을 얇게 잘라 시원하게 먹는 페루의 대표적인 음식 '세비체'를 만들려면 라임즙이 필요하다.

walde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