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삼성전자, 편의성과 성능·면적 다 잡은 신개념 저전력 D램 모듈 'LPCAMM' 개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삼성전자 저소비전력D램(LPDDR) 기반 7.5Gbps LPCAMM. 삼성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저전력 D램 모듈 패러다임을 바꿨다. 기존 D램 모듈이 가진 한계를 극복, 성능과 전력 효율을 대폭 키운 새로운 폼팩터를 업계 최초로 개발했다. 내년 상용화를 추진한다.

삼성전자는 차세대 PC·노트북용 저전력D램(LPDDR) 기반 7.5Gbps LPCAMM(Low Power Compression Attached Memory Module)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LPCAMM은 LPDDR 패키지 기반 신개념 모듈이다. 기존 노트북용 So-DIMM(Small Outline Dual In-line Memory Module) 대비 성능·저전력·디자인 효율성 측면에서 기술 혁신을 이뤄냈다.

지금까지 PC나 노트에는 LPDDR 패키지 제품을 메인보드에 직접 탑재하는 온보드 방식이나 So-DIMM이 사용됐다. 온보드 방식은 소형화·저전력 등 장점이 있지만 메인보드에 한번 탑재하면 교체가 어렵다. So-DIMM은 모듈 형태로 탈부착할 수 있지만 전송 속도·공간 효율화 등에서 물리적 한계가 있다.

LPCAMM은 탈부착 편의성과 성능, 공간 효율화를 모두 해결한 제품이다. So-DIMM과 견줘 탑재 면적을 최대 60% 이상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배터리 용량을 추가 확보하는 등 기기 내부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조사는 초슬림 노트북과 같이 기기 설계나 디자인을 보다 유연하게 할 수 있고, 사용자는 교체와 업그레이드를 쉽게 할 수 있다.

성능은 최대 50%, 전력효율은 최대 70%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 PC와 노트북 뿐 아니라 고성능 메모리를 요구하는 인공지능(AI)·고성능컴퓨팅(HPC)·서버·데이터센터 등으로 응용처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전자는 인텔 플랫폼에서 7.5Gbps LPCAMM 동작 검증을 마쳤다. 내년 상용화를 위해 연내 인텔을 포함한 주요 고객사와 차세대 시스템에서 검증할 예정이다.

배용철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상품기획팀 부사장은 “다양한 분야에 걸쳐 고성능·저전력, 제조 융통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해 LPCAMM 응용처도 늘어날 전망”이라며 “삼성은 LPCAMM 솔루션 시장 확대 기회를 타진하고 신규 시장을 개척, 메모리 산업을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디미트리오스 지아카스 인텔 메모리·IO 테크놀로지 부사장(VP)은 “LPCAMM은 PC 시장 게임체인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박종진 기자 truth@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