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AI 반도체 스타트업 리벨리온과 삼성전자, 차세대 AI 반도체 공동개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인공지능(AI)에 특화된 반도체를 개발하는 국내 신생기업(스타트업) 리벨리온이 삼성전자와 손잡고 차세대 AI 반도체를 공동개발한다. AI 반도체는 일반 반도체와 달리 빠른 연산 능력이 필요한 AI를 위해 설계된 반도체로 범용 반도체보다 최소 10배 이상 높은 성능을 발휘한다.

리벨리온은 5일 삼성전자와 생성형 AI를 위한 차세대 AI 반도체 '리벨'을 공동개발한다고 밝혔다. 내년 하반기 개발을 마칠 예정인 리벨은 생성형 AI 운용에 필요한 초거대언어모델(LLM) 구동에 최적화된 반도체다.

이 과정에서 리벨리온은 리벨의 회로 설계와 검증을 맡고 삼성전자에서 4나노 공정을 이용해 반도체를 생산하게 된다. 여기에 삼성전자의 고대역폭 메모리반도체(HBM3E)도 들어간다.
한국일보

리벨리온은 삼성전자와 손잡고 생성형 AI를 위한 차세대 AI 반도체를 개발한다. 리벨리온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AI 반도체는 날로 수요가 늘고 있는 생성형 AI 개발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엔비디아 등 해외업체들이 AI 반도체 시장을 장악하면서 국내 AI업체들의 비용이 날로 증가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번 양 사가 개발하는 AI 반도체가 충분한 성능을 발휘하면 해외 AI 반도체에 대한 의존도를 낮출 수 있을 전망이다. 박성현 리벨리온 대표는 "생성형 AI 시장에서 뒤처지지 않으려면 국내 AI 반도체 기술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이번 협업을 통해 양 사의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여주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AI 반도체의 설계부터 생산까지 전 과정을 국내 기업들끼리 협업해 이뤄낸 것은 처음이다. 리벨리온은 데이터센터용 AI 반도체 '아톰'의 생산을 삼성전자에 위탁해 5나노 공정으로 생산한 적이 있으나 이번처럼 개발 과정부터 협업하는 것은 처음이다. 업계에 따르면 지금까지 국내 AI 반도체의 대부분은 해외업체가 설계하거나 해외 생산시설을 이용해 개발됐다. 정기봉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 부사장은 "삼성전자는 AI 반도체 시장을 핵심 미래 사업으로 보고 있다"며 "리벨리온과 협업을 통해 국내 시스템 반도체 생태계를 한 차원 더 성장시키겠다"고 강조했다.

2020년 설립된 리벨리온은 IBM, 인텔, 스페이스X 등에서 반도체를 개발한 박사급 인력 수십 명이 포진한 반도체 설계 전문 스타트업으로, KT 등에서 전략적 투자를 받았다. 자율주행, 클라우드, 핀테크와 의료, 생성형 AI 등 다양한 분야에 필요한 AI 반도체를 개발하는 이곳은 핀테크용 AI 반도체 이온과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센터용 반도체 아톰을 개발했다.

최연진 IT전문기자 wolfpack@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