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국회의원 이모저모

‘부산 3선’ 하태경이 촉발한 험지출마론… 與 중진·지도부 압박 세질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과거 당선 떠나 체급 키운 사례 다수

부산에서만 내리 3선을 한 국민의힘 하태경 의원이 주말 연휴 서울 험지 출마를 선언하면서 정치권이 술렁이고 있다. 내년 총선을 6개월 앞두고 정치권에 미칠 파장이 적지 않다. 과거에도 험지로 몸을 던진 정치인들은 생환 여부와 무관하게 정치적 체급을 높여 성장하는 계기가 됐다. 다만 일부는 생환에 실패하면서 중앙 무대에서 밀려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세계일보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8일 정치권에 따르면 험지 출마로 정치적 체급을 키운 대표적 정치인으로는 노무현 전 대통령이 꼽힌다. 지역주의 타파를 외치며 당선 가능성이 낮은 험지로만 4번을 출마했다. 그 과정에서 정치적 자산을 쌓으며 대선 주자로 급부상해 2000년 부산 북강서을 낙마 뒤 2002년 치러진 제16대 대선에서 당선되는 드라마를 써냈다.

민주당의 김부겸 전 총리도 보수의 텃밭인 대구에서 민주당계로 출마해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와 2014년 대구시장에 도전해 낙선하면서 오히려 정치적 입지가 커졌다. 이후 2016년 결국 대구 수성구 갑에 당선됐고 이후 행정안전부 장관과 국무총리를 지내며 대선주자 반열에 들어섰다. 이정현 전 새누리당(현 국민의힘) 대표도 보수의 불모지인 호남에 꾸준히 도전하며 실패 끝에 결국 원내 입성에 성공해 당 대표까지 지냈다.

최근 사례를 보면 민주당 원내대표에 오른 홍익표 의원은 서울 성동을에서 재선을 한 임종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의 추천으로 성동구에 출마한 뒤 내리 3선을 했다. 4선을 눈앞에둔 상황에서 지난해 7월 돌연 야당의 험지인 서울 서초을 출마를 선언했다. 이같은 험지 출마선언이 이번 원내대표 당선에 주요한 역할을 했다는 분석이 많다.

반면 험지에서 생환하지 못하고 중앙 무대에서 사라진 인물도 적지 않다. 보수당 대표와 부총리까지 지낸 5선의 황우여 전 의원도 20대 선거에서 자신의 지역구이던 인천 연수갑 대신 야당세가 짙은 인천 서구을에 출마했다가 낙선했다. 안대희 전 대법관도 20대 총선에서 부산 대신 서울 마포갑에 나섰다가 낙선했다.

하 의원이 불지핀 험지 출마론으로 그동안 수면 아래로 가라 앉았던 여당 중진과 지도부를 향한 험지 출마 압박이 한층 거세질 것인지도 관심사다. 이준석 전 대표는 친윤(친윤석열)계 의원들을 향해 수도권 출마를 주장했고, 윤상현 의원도 지난해 말 전당대회를 앞두고 후보자들이 모두 수도권 출마를 약속하자고 주장했었다.

조병욱 기자 brightw@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