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종합] 네이버 대표→실무진, 복지위 국감 증인 변경…기업인 망신주기 안 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이안나 이나연 기자] 국회 보건복지위원회가 오는 12일 예정된 보건복지부 국정감사를 하루 앞두고 일부 증인을 철회했다. 철회 명단엔 네이버 최수연 대표가 포함됐다. 복지위 국감엔 네이버 최수연 대표 대신 유봉석 부사장(서비스운영총괄)이 참석할 예정이다.

국회 복지위는 11일 오전 전체회의를 열고 국정감사 증인·참고인 출석요구 철회 및 추가의 건을 의결했다. 철회 명단엔 네이버 최수연 대표가 포함됐다.

최 대표를 증인으로 신청한 국회 복지위 소속 서영석 의원실(더불어민주당) 측은 “기업 요청으로 네이버 측 증인을 최 대표에서 실무진인 유봉석 부사장으로 변경했다”고 말했다.

앞서, 복지위는 지난달 21일 복지부 대상 국감 증인으로 최 대표를 채택한 바 있다. 목적은 개인의료정보 유출과 관련 질의를 위해서다.

통상적으로, IT플랫폼 현안은 방송통신위원회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감을 진행하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에서 논의되는 게 일반적이다. 이런 가운데 복지위가 국내 최대 포털 네이버 최고경영자(CEO)를 증인으로 채택한 것은 주목받을 사안이었다. 그만큼 네이버가 개인의료정보 유출에 대해 중대한 문제를 일으킨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다.

서영석 의원실 측은 전날까지도 신문 요지에 대해 “구체적 질의 내용은 대외비라 밝힐 수 없다”는 입장을 일관해 왔다. 일각에선 최근 네이버 블로그나 카페 등에서 개인의료정보가 유통되는 상황에 포털 사업자인 네이버 책임을 물을 것으로 전망된다는 의견이 나왔다.

업계에선 해당 현안이 보건복지부 대상 국감에 네이버 실무진이 아닌 경영진을 부를 만한 내용인가에 대해 회의적인 시선을 보냈다. 특정 정보에 대한 유출이 문제라면, 모든 사업을 총괄하는 CEO보다 개인정보보호 담당자 또는 서비스운영 실무자가 답변하는 것이 더 정확하기 때문이다.

매년 국감에서 이뤄지는 기업 창업자 및 경영진 채택이 현안과 거리가 먼 ‘총수 망신주기’, ‘호통치기’에 그친다는 지적도 되풀이되는 상황이다. 최 대표 증인 채택 관련해서도 이러한 이유의 연장선으로 해석됐던 게 사실이다.

하지만 이날 복지위는 최 대표 대신 실무진으로 네이버 측 증인을 변경했다. 네이버 대표가 국감장에 등장하는 것보다 우선은, 정확한 문제 파악과 해결책 마련이기 때문이다. 이는 실무 담당 임원을 통해 확인 가능한 부분이기에, 국회와 네이버는 이번 국감을 통해 현실적인 대책 마련 논의를 이룰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 측은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한 것은 아닌 것으로 안다”며 “개인의료정보 유출 관련한 의원 질의에 더 대답을 잘 할 수 있는 실무진을 제안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