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출범 5주년을 맞은 인터넷전문은행의 가계대출 시장 점유율이 빠르게 늘고 있다. 카카오·케이뱅크는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대출을 공격적으로 늘리고 있고, 토스뱅크도 전월세대출을 취급하고 광주은행과의 공동 신용대출 상품 출시를 눈앞에 두고 있다. 다만 미약한 기업대출 분야를 키워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1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6월말 국내 20개 은행의 대출채권 기준 가계대출 잔액(894조1203억원) 가운데 인터넷은행 3사(카카오·케이·토스뱅크)의 잔액(53조7413억원) 비중은 6.01%로 나타났다. 2021년 6월말 3.21%에 비해 2년 만에 약 2배 가까이 상승했다. 같은 기간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비중은 78.28%에서 75.85%로 하락했다.
인터넷은행의 점유율은 아직 미미하지만 가파른 대출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카카오뱅크는 5대 은행·IBK기업은행에 이어 많은 33조3749억원의 잔액을 기록했다. 케이뱅크(12조1401억원)도 경남은행(12조1441억원)의 턱밑까지 따라붙었고 최근 출범 2주년을 맞은 토스뱅크(8조2262억원)도 광주은행(8조597억원)과 전북은행(7조3318억원)을 넘어섰다.
특히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는 최근 주담대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올해들어 지난 8월말까지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의 주담대 잔액은 각각 6조219억원, 1조7681억원 늘었다. 같은 기간 5대 은행의 주담대 잔액 합이 1조8654억원 증가한 것과 비교해도 빠른 증가세다.
토스뱅크도 지난달 전월세대출을 출시하면서 대출상품 다양화를 추진하고 있다. 통상 은행권에서 전월세대출 취급은 주담대 시장 진출의 사전단계로 여겨진다. 아울러 하반기에는 은행권 최초로 광주은행과 협업한 '공동대출' 상품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공동대출은 고객이 토스뱅크 플랫폼을 통해 대출을 실행하면 두 은행이 대출에 필요한 자금을 절반씩 부담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토스뱅크는 부족한 여신을 충당할 수 있고, 광주은행은 토스뱅크의 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생긴다.
은행권 관계자는 "인뱅들이 차례로 주담대 시장에 들어서면 막강한 플랫폼을 무기로 주담대를 포함한 가계대출 시장 점유율을 키울 것이란 점은 분명하다"며 "얼마나 상품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해 경쟁력을 키우느냐가 향후 '메기'가 되느냐, '송사리'로 남느냐를 좌우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반면 기업대출은 여전히 인터넷은행의 약한 고리다. 은행권 기업대출 잔액(1261조9973억원) 중 인터넷은행들의 비중은 0.23%(2조8911억원)에 불과하다. 또 대기업대출은 전혀 취급하고 있지 않고, 대부분 소상공인에게 빌려준 개인사업자대출로 구성돼있다는 점은 건전성 관리 등에도 부담을 주고 있다.
이에 인터넷은행권에서는 비대면 영업을 강제한 규제 등을 완화해 기업대출 부문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 나온다. 서호성 케이뱅크 은행장은 지난달 인터넷은행법 제정 5주년 기념 토론회에서 "비대면이라는 수단이 너무 강조되다보니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일부 있다"며 "중소기업 여신 취급에서 비대면 상황에서는 중소기업의 계좌개설 등 할 수 없는 업무가 있어 규제를 계속 완화하는 방안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금융당국은 규제 완화에 대해 유보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박충현 금융감독원 부원장보는 같은 날 토론회에 참석해 "인뱅이 더 성장하고 발전하려면 수익원을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라면서도 "중소기업·개인사업자대출을 하려면 자본 여력이 충분해야하는데. 자본이 탄탄하지 않아 연체율이 올라가고 있다"고 했다. 이어 "앞으로도 인뱅에는 영업행위에 대한 규제나 감독보다는 건전성 규제와 감독에 초점을 맞출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김도엽 기자 usone@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