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천태만상 가짜뉴스

엑스, EU 가짜뉴스 관리 촉구에 발끈…"수만개 콘텐츠 삭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엑스(옛 트위터)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 분쟁에 관한 가짜뉴스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고 있다는 유럽연합(EU)의 비판에 대해 수만 개의 콘텐츠를 삭제했다며 반박에 나섰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2일(현지시간) AP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린다 야카리노 엑스 최고경영자(CEO)는 EU의 티에리 브르통 내수시장 담당 집행위원에게 보낸 서한을 통해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공격한 이후 며칠 동안 엑스가 수만 개의 콘텐츠를 삭제하거나 오해의 소지가 있는 콘텐츠임을 알리는 라벨을 붙였다고 답변했다.

야카리노 CEO는 “분쟁이 시작된 후 지금까지 수백 개의 하마스 연계 계정을 플랫폼에서 확인하고 삭제했다”며 “엑스에는 테러단체나 폭력적인 극단주의 단체가 설 곳이 없다”며 “우리는 사전적으로 대처하면서 해당 계정들을 실시간으로 삭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브르통 EU 집행위원은 일론 머스크를 향해 “이스라엘에 대한 하마스의 테러 공격 이후 우리는 엑스가 불법 콘텐츠와 허위 정보를 유포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는 징후를 가지고 있다”며 EU의 디지털서비스법(DSA) 의무를 준수할 것을 촉구했다. 엑스가 이·팔 사태와 관련해 가짜뉴스를 퍼뜨리는 창구로 전락했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머스크는 “우리의 정책은 모든 것의 출처가 공개돼 있고 투명하다는 것이며, 이는 EU도 지지하는 접근 방식”이라며 “대중들이 볼 수 있도록 뭘 위반했다는 건지 나열해달라”고 발끈하는 모습을 보였다.

EU 지역 내에서 엑스를 비롯한 페이스북 등 19개 플랫폼은 DSA상 ‘초대형 온라인 플랫폼 및 검색엔진’으로 분류돼 더 강력한 규제를 적용받는다.

각 플랫폼은 유해·불법 콘텐츠 발견 시 신속히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신고 창구 등 예방 시스템을 마련해야 하며, 이를 따르지 않을 경우 연간 글로벌 수익의 최대 6%에 해당하는 과징금이 부여될 수 있다.

브르통 집행위원은 이날 추쇼우즈 틱톡 CEO에도 불법 유해 콘텐츠를 삭제하기 위해 어떤 조처를 취하고 있는지 24시간 안에 회신하라는 서한을 보낸 것으로 전해졌다.



이지은 기자 jelee042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