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2 (목)

이슈 '미중 무역' 갈등과 협상

“전기료 올랐는데…'韓철강 상계관세 부과' 美 CIT에 제소할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안덕근 통상교섭본부장 백브리핑

“美철강 관리무역 철저…계속 모니터링”

“美협의로 中 반도체 공장 안정화 기대”

“한-UAE CEPA, 중동 시장 교두보 될 것”

[이데일리 김형욱 강신우 기자] 미국 행정부가 싼 전기요금을 일종의 정부 보조금으로 간주해 우리 철강제품에 대한 상계관세율을 높인 가운데, 정부도 업계와 함께 이를 미국 법원에서 다투겠다는 방침을 확인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1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진행한 기자단 백브리핑에서 “우리 에너지가격이 다 올랐는데 (미국 상무부가) 이를 보조금이라는 말을 하고 있다”며 “미국 국제무역법원(CIT) 제소를 통해 바꿔볼 것”이라고 말했다.

이데일리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지난 3월23일 서울 한국철강협회에서 열린 철강통상 현안 점검 회의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사진=산업부)


美 “韓 철강사 저가 전기 사용은 정부 보조금” 주장

미국 상무부는 지난달 7일 한국산 철강 후판에 대한 상계관세율을 1.08%로 확정했다. 1년 전 상계관세율이 0.2%대 미소 마진이었던 걸 고려하면 큰 폭 상승이다. 상무부는 특히 한국 철강사의 저가 전기 사용을 가장 큰 상계관세율 적용 요인(0.51%)으로 꼽았다. 공기업인 한국전력공사가 큰 폭 적자를 감수하며 전기요금을 충분히 올리지 않은 걸 빌미로 이를 사실상 정부 보조금으로 간주한 것이다. 한국 철강사로선 안 그래도 전기요금이 1년 반 새 40% 올랐는데 대(對)미국 수출 때 내야 할 관세도 늘어난 셈이다.

안 본부장은 “세계무역기구(WTO)가 작동하지 않고 있어 (미국) 국내법원 차원에서 소송을 진행할 계획”이라며 “국내법에서 승소하면 부과 관세를 환급받을 수 있어 국내 기업도 이를 선호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미국이 철강 분야에 대해선 확고한 관리 무역 체제”라며 “다만, 국가별 무관세 수출할당(쿼터) 이내 물량에 대해선 반덤핑·상계관세가 2~3% 이내로 예전처럼 높진 않은 만큼 계속 모니터링하며 대응해나가겠다”고 말했다.

미국 행정부는 트럼프 대통령 시절이던 2018년부터 국가 안보를 이유로 국가별 철강 수입 쿼터를 정하고 이를 넘을 경우 25%의 고율 관세를 적용하는 방식으로 사실상 수입을 제한하고 있다. 또 이와 별개로 다양한 명목으로 반덤핑·상계관세를 부과 중이다. 재작년에는 급등한 해상 운임을 철강제품 가격에 반영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상계관세를 부과했다.

“반도체는 ‘美 대중규제’ 불확실성 해소…계속 협력”

안 본부장은 반도체와 관련해선 최근 미국 측과의 성공적인 협의로 한국 기업의 중국 사업장 운영 등 불확실성을 해소했다고 평가했다.

미국 행정부는 이달 13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검증된 최종사용자(VEU)’로 지정해 이들 기업이 미국의 대(對)중국 반도체 규제와 별개로 중국 내 설비를 정상 운영할 수 있도록 했다. 또 미국 반도체법에 따른 미국 내 설비투자 지원 혜택을 받더라도 투자액 기준 5% 이내에선 대(對)중국 설비투자를 허용한다는 가드레일 조항을 지난달 확정했다. 미국 행정부가 지난해 다분히 중국을 겨냥해 반도체법과 대중국 투자제한을 발표했을 때의 중국 사업 차질 우려를 고려하면 불확실성을 상당 부분 걷어냈다는 게 우리 반도체 업계의 평가다.

안 본부장은 “이번 조치가 우리 반도체 사업을 안정화하는데 상당히 도움을 줄 것으로 본다”며 “양국 간 정상 외교로 경제 안정성을 확보한 대표적 사례”라고 자평했다. 이어 “앞으로도 우리 기업의 투자·경영활동을 보장하기 위해 미국 측과 계속 협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데일리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왼쪽)과 타니 빈 아흐메드 알 제유디 아랍에미리트(UAE) 통상부 장관이 이달 14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한-UAE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CEPA) 협상을 최종 타결을 확인하는 공동 선언문에 서명 후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산업부)


그는 그밖에 지난 14일 최종 타결한 한-아랍에미리트(UAE)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CEPA)이 UAE뿐 아니라 중동 시장 전역의 교역 확대와 서비스 시장 진출에 도움을 줄 것이라는 기대감을 내비쳤다. 한-UAE CEPA는 우리나라의 24번째 자유무역협정(FTA)이자 아랍 지역 첫 FTA다. 내년 이후 발효하면 전체 품목의 92.8%에 대한 관세가 10년 내 사라지고 현지 온라인 게임·의료 등 서비스 시장도 열린다. 그는 “UAE와 18개 아랍국은 명목상 자유무역 국가로 묶인 만큼 이번 협정 체결로 18개국 시장의 문도 열 것”이라고 말했다.

또 내달 프랑스 파리 국제박람회기구(BIE)에서 회원국 투표로 결정되는 2030년 국제박람회(엑스포) 개최지 투표와 관련해 부산시의 유치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부산시는 현재 유력 경쟁자인 사우디아라비아 오데사와 2030년 엑스포 유치를 놓고 경합 중이다. 안 본부장은 “결승 막바지에서 경쟁하는 중”이라며 “충분히 승산 있는 게임이라고 보고 전 부처가 전력투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