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무병장수 꿈꾸는 백세시대 건강 관리법

“해파리 독이 약이 된다?” 아무도 몰랐던 사실…치매치료제 가능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KIOST, 해파리 독에서 치매 억제 물질 발견

헤럴드경제

작은상자해파리.[KIOST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독도 잘 쓰면 약이 된다는 말이 정말 맞았네.”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은 해파리의 독단백질로부터 치매의 원인 물질로 알려진 아밀로이드 베타 플라크의 형성을 억제하는 펩타이드를 발견했다고 18일 밝혔다. 연구진은 두 건의 특허 등록을 마쳤친 상태다.

KIOST 염승식 박사 연구팀은 우리나라 남해안에 주로 출현하는 독성 해파리 종인 ‘작은상자해파리’와 아열대 지역에 주로 서식하는 ‘말레이해파리’의 유전체 정보로부터 신경계에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독단백질들의 정보를 추출하고 이들 중 일부를 합성하여 기능분석을 진행했다.

헤럴드경제

말레이해파리.[KIOST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 결과, ‘작은상자해파리’에서 추출한 펩타이드인 ‘CBRV1-04369’와 ‘말레이해파리’에서 추출한 ‘SMA_04088-2’가 아밀로이드 베타의 올리고머화와 섬유화를 저지, 치매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 아밀로이드 플라크의 형성을 막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가 급속화게 진행됨에 따라 치매 등 노인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진행한다면 치매 개선제 또는 치료제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강도형 KIOST 원장은 “이번 연구 성과는 유해 해양생물인 해파리 독이 유용 해양바이오소재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라며 “향후 연구 성과가 상용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후속 연구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nbgkoo@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