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공식 출범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허위보도' 의혹 기자, 공수처에 수사팀 고소 "검찰이 피의사실 유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 대선 국면 때 국민의힘 후보였던 윤석열 대통령의 '부산저축은행 수사 무마 의혹'과 관련한 허위 사실을 보도한 혐의를 받는 리포액트 허재현 기자가 수사팀 검사들과 '대장동 그분' 의혹을 보도한 기자들을 23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고소·고발했다.

아시아경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사진=아시아경제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허 기자는 이날 공수처에 자신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대선개입 여론조작' 특별수사팀(팀장 강백신 반부패수사1부장) 소속 검사 등을 피의사실공표 혐의로 고소했다.

그는 고소장을 제출하기 전 취재진과 만나 지난 11일 압수수색 때 피의자인 자신도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던 영장 내용이 조선일보·중앙일보를 통해 상세하게 보도됐다고 지적하며 "검찰이 이들 언론에 피의사실을 유출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압수수색 당일 치러진 강서구청장 보궐선거에서 여당 후보의 참패를 예상한 검찰이 야당 후보와의 득표 격차를 최대한 줄여보고자 민주당과 관련한 허위의 피의사실을 공표한 것이라면서 이들 검사에 대한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고발장도 냈다.

또 2021년 10월 '대장동 그분'이 언급된 정영학 녹취록 내용을 보도하며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였던 이재명 대표의 연루 가능성을 언급했던 동아일보 기자 2명도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고발했다.

허 기자는 당시 윤 대통령 측이 이 기사를 바탕으로 "'내부자들은 모두 그분으로 이재명 후보를 가리키고 있다'고 주장하며 여론몰이에 이용했다"며 "선거에 개입한 검은 세력이 있다면 여야 구분 없이 수사돼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허 기자는 검찰이 자신에게 적용한 윤 대통령에 대한 명예훼손 혐의를 부인했다. 검찰이 문제 삼은 이른바 '최재경 녹취록'에 대해선 2021년 말 '정영학 녹취록'을 확보하려고 취재하던 중 입수한 것이라며 "제보자가 대화자 중 한명이 최재경이라고 알려줬다"고 설명했다.

허 기자는 지난해 3월 대선을 앞두고 '대장동 브로커' 조우형씨와 사촌 형 이철수씨, 최재경 전 대검중수부장의 대화가 담긴 녹취록을 확보했다며 그 내용을 보도했다.

하지만 검찰은 실제 녹취에 등장하는 사람이 최 전 중수부장이 아니라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보좌관 최모씨인 것으로 판단하고 최씨가 최 전 중수부장으로 둔갑한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허 기자는 제보자의 신분에 대해 "제보자의 직책, 삶의 경로를 볼 때 여러분도 그분이 취재원이었다면 높은 신뢰를 갖고 보도를 검토할 것"이라고 말을 아꼈다. 이어 그는 "크로스 체크를 했고 사전에 여러 자문을 거쳤다"며 "최 전 검사장이 실제 이런 발언을 했을지 검찰에 오래 출입한 언론인, 검찰 출신 법조인에게 확인했다"고 말했다.



김형민 기자 khm19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