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생성 AI에 뛰어든 애플, 서버에만 최소 6조 투자한다" [글로벌 IT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팀 쿡 애플 CEO. 사진=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애플이 드디어 생성형 AI 시장에 참전한다. 내년 출시를 목표로 개발에 힘쓰고 있는 가운데, 서버 투자 비용으로만 47억달러 상당을 지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23일(현지시간) TF증권 애널리스트 궈밍치(Ming-Chi Kuo)는 애플이 내년 생성 AI 개발 지원을 위해 하드웨어 투자만 수십억 달러를 지출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올해 최소 6억 2000만달러(한화 약 8300억원)를 지출하며, 내년 47억 5000만달러(약 6조 3700억원)를 사용한다는 설명이다.

이에 따라 애플은 올해 2000~3000대 서버를 구매할 수 있으며, 내년에는 추가로 최대 2만대를 구입할 수 있다.

궈는 애플이 생성 AI 훈련을 위해 엔비디아의 HGX H100 8-GPU가 장착된 서버를 구매하고 있으며, 이후 B100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구매 예정인 H100의 경우 AI 슈퍼컴퓨팅 플랫폼으로 불리며, 한대당 약 25만달러(약 3억 3600만원)에 판매 중이다.

궈는 애플이 향상된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를 이용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구매하고 설치하는 AI 서버를 사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애플이 서버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자체 서버 칩을 개발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지만, 현재까지 이와 관련된 애플의 시도는 포착되지 않았다.

애플의 대규모 AI 투자 소식이 들려오자 여러 외신들은 우려 섞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현재 활발하게 AI 상품을 내놓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아마존 등에 비해 개발이 뒤처져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거먼을 통해 애플이 AI 개발에 연간 10억 달러를 사용할 계획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는데, 궈는 애플이 인건비, 인프라 등 투자할 부분이 많기 때문에 최소 연간 수십억 달러를 지출하지 않는 이상 경쟁력에서 뒤처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파이낸셜뉴스

아이폰15 시리즈.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 애플은 수년간 연구를 통해'에이잭스(Ajax)'라는 자체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개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활용해 '애플 GPT'라는 챗봇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애플은 AI 음성 비서인 '시리(Siri)'와 '메시지(Messages)' 등에 생성형 AI를 탑재할 계획이다.

이후 내년 출시되는 아이폰의 새로운 운영체제 iOS18에 생성형 AI를 통합하고,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는 많은 앱에 이를 접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글로벌IT슈 #애플GPT #애플생성형AI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